기쁨의 노래
미야시타 나츠 지음, 최미혜 옮김 / 이덴슬리벨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음악을 매개로한 따뜻한 성장 소설입니다.​


아직 덜 크고, 철이 없는 모양입니다. 삐뚤어지고, 망가져... 이번 생은 망했다를 노래를 하고 사는 사람으로 읽는 동안 좀 위로를 받았습니다. 물론, 이 책에 나오는 아이들만큼 어리지도, 무엇이든 가능한 나이는 아니질도 모르지만.... 그렇다고 다 산 것도, 정말 미래가 없는 것도 아닐테니까요.


이야기는 짧게 하나의 인물들의 이야기로 진행됩니다. 그래서 한 사람씩 조금은 세세히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의 상처라던지, 그들의 마음이라던지... 그들이 성장해 가는 모습이라던지.... 아이들의 꿈은 저마다 상처받고, 부러져 있습니다. 모두 미래가 없어보입니다. 원하는 가 아닌 좌절을 느끼고 메이센 여고에 들어온 아이들입니다. 뭔가 원해서 지망하여 모인 학교가 아니라 다들 자신의 꿈이 꺽여 잘 알려지지 않은 신생 고등학교로 입학하게 된 아이들입니다. 서로에게 관심없이 남처럼 지내던 아이들은 엉망진창처럼 보였던 합창대회를 기점으로 하나로 모이고, 알아가게 됩니다.



서로 각기 다른 아이들의 그들의 음이 하나하나 쌓여 멋진 음악을 만들어 내듯이....

책도 각 음으로 나누어져 '미카모토 레이', '하라 치나츠', '나카미조 사키', '마키노 후미카', '시토나카 요시코', '사사키 히카리' 그들의 이야기가 각 장마다 들려주고, 그 음들이 모여 다시 기쁨의 노래를 만듭니다.


자극적이거나 너무 극적으로 만들지 않고.... 그저 잔잔하게....

그 맘때 아이들이 겪을 마음의 상처와 흔들림을 잘 잡아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따뜻하게, 위로가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어가고, 치유받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같이 힘을 얻으며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편안하게 읽기 좋았고, 그래서 따뜻하고, 기분 좋게 힘을 얻은 소설이었습니다.


음악을 매개로한 작품이 이번이 두 번째라고 합니다. 2016년 일본 서점 대상 1위를 수상한 < 양과 강철의 숲 > 또한 음악을 매개로한 감동소설이라고 하니, 이 작품도 꼭 찾아서 읽어 보고 싶어집니다.


음악이란 정말 사람에게 듣고, 즐기는 것 뿐만 아니라 묘한 치유와 힘을 주는 환상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요소를 성장 소설에 잘 버무리고, 일본 특유의 감성적 분위기와 잘 섞어 따뜻하게 토닥토닥 어깨를 두들겨 주었던 좋은 작품이 아니었나 싶네요.

책을 읽으며 아이들과 저를 함께 응원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