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 마흔에게 >라는 제목보다 원제를 그대로 쓴 것이 더 낫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든다.

< 미움 받을 용기 >의 저자인 기시미 이치로님이 이번엔 나이 들어감에 관한 용기에 관한 책을 아들러 심리학을 통해 이야기 하고 있다.

 

마흔의 나이대에 읽는 도서가 아니라 전 연령이 다양하게 읽고, 느끼는 바가 많을 책일 것 같다. 나이 들어간다는 것.... 늙어 간다는 것에 관해 사람들은 걱정도 많고, 부정적인 생각과 시선들이 많다. 거기에 관해 조금 더 잘(?) 늙어 가는 일러주고 있다.

 

1장 인생, 내리막길이 최고! / 2장 어제 못한 일을 오늘은 할 수 있다 / 3장 적어도 ‘오늘은’ 살 수 있다 / 4장 다시 살아갈 용기 / 5장 어떻게 살 것인가 / 6장 부모와 자식 사이 적당한 거리 두기 / 7장 못한다고 말하는 용기 / 8장 내가 가치 있다고 생각할 때 / 9장 나는 나부터 챙기기로 했다 로 크게 나누어 나이 들어간다는 것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데 오히려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이 많고, 쉽게 무엇이든 채득하는 것들이 많고, 나이 듦이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일러주고 있다. 더불어 나이 든 부모를 간병하는 것에 관해서도 이야기 하면서 간병을 받는 사람이나 하는 사람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늙어 감에 관해 저자는 아들러 심리학과 자신의 사례들과 함께 이야기 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건 확실히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두려운 건 사실이다. 몸도 갈수록 쇠약해지고, 그로 인해서 할 수 있는 것보다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게 많아진다. 일단 시작하기보다는 못한다고 생각하기 쉬워지고... ‘이 나이에 무슨....’하면서 포기하게 하게 되는 게 많아지는데 일단, 시도해보지도 않고, 그저 나이 먹음을 핑계로 둔다. 실제로 정말 나이 때문에 할 수 없는 일들이 있기는 하지만, 일단 시도 해보지 않았으니 사실 알 수 없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 몸도, 머리도 다 기억이라는 것이 옅어진다고 생각했는데, 여태까지 내가 쭉 익혀온 것들이 내 안에 잘 저장되어 있어서 뭔가 새로운 것을 시작하려고 해도 기본은 깔려 있어 의외로 지금에서 쉽게 배우고, 익혀 나갈 수 있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다. 나이가 들어가면 점점 성과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면 타인이 보는 시선이 아니더라도 스스로가 늙어 가는 것에 공포와 힘듦을 느끼게 되는데, 사실 생산성으로 사람의 가치를 매길 수 없거니와 그저 눈에 보이는 성과가 아니더라도 사람은 자체만으로도 많은 부분 공헌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부모를 간병하는 것에 대해서도 읽으면서 좀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것 같다. 내가 나이가 들어 가는 만큼 나의 어머니의 연세도 이제 적지 않으니, 편찮으신 곳도 많아지고 하다보니 그에 관해서도 생각해 보니 책을 읽으면서 좀 더 많은 생각을 해보게 된 것 같다. 하는 입장과 받는 입장에 관해서도 알 수 있었고, 생각해 보게 되었고, 내가 간병까지는 아니더라도 보통때도 누가 이런다더라... 무엇이 좋다더라를 들으면서 그걸 강요하면서 늘 어머니와 싸움을 만들고 있는건 아닌가 싶어서 씁쓸해지며, 어머니에게 맞는,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되기도 했다.

 

연령대 상관없이 모두가 읽어보면 참 좋은 책 읽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