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정 - 흔들리지 않고 고요히 나를 지키다
정민 지음 / 김영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내면을 구비하는 게 특히 중요해진 요즘이다. 평소에 암만 튼튼한 내면을 구축해 놓아도 한국사회에서는, 곳곳에 위기가 도사린다. 설날과 추석이 그것이고, 취업과 결혼이 다음이다. 이보다 큰 공포는 이러한 위기가 반복된다는 것이며, 그 종류는 훨씬 더 다양하고 개인적이라는 것이다. 이를 테면 취업은 언제 할 거니? 수입은 얼마니? 결혼은 언제 할 거니? 아이는 언제 낳을 거니? 그래서 공무원 시험은 언제니? 등등.

물음표는 총구가 되어 우리의 내면을 겨눈다. 아아, 때론 명상을 통해, 또 때로는 영화를 통해, 만리장성처럼 고이 쌓아온 우리의 내면은 손쉽게 부서진다. 오늘 소개할 신간은 정민 교수의 <습정>. 흔들리지 않고 고요히 나를 지키다, 라는 부제가 붙었다.

2.

<습정>이 어떤 책이냐 묻는다면 마음을 다스리는 글 묶음이라 하겠다. 각 장에는 침정신정, 능내구전, 등의 사자성어가 제시되며 이에 관한 저자의 고찰 등이 후술된다. 사자성어를 비롯해 많은 고전과 야화를 다룬다는 점에서 <울고 싶지? 그래 울고 싶다, 신정일 저, 김영사>를 떠올리게 되는데 어딘가 통속적인 제목과는 다르게 어두웠던 시기에 큰 위로가 되었던 책이다. <습정>역시 책 어디를 펼쳐도 마음을 다스리는 데 탁월한 이야기가 스며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고전사료가 깃들어 있어 옛 선조들의 묵은 지혜를 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3.

고전사료를 동력삼아 글을 묶은 책이라 잡다한 수식보다는 책의 일부를 소개한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뻔한 어구를 <습정>에서는 어떻게 다룰까. 책은 별다른 미사여구 없이 바로 명나라 왕상진이라는 (나로서는) 낯선 학자의, <일성격언론, 섭세 편>의 말을 소개한다.

무릇 정이란 다하지 않은 뜻을 남겨두어야 맛이 깊다. 흥도 끝까지 가지 않아야만 흥취가 거나하다. 만약 사업이 반드시 성에 차기를 구하고, 공을 세움에 가득 채우려고만 들 경우, 내부에서 변고가 일어나지 않으면 반드시 바깥의 근심을 불러온다(P209).

즉, 이러한 원문을 소개한 후에 저자의 통찰이 후술된다. 사람들은 끝장을 봐야 직성이 풀린다. 남는 것은 회복 불능의 상처 뿐이다 더 갈 수 있어도 머추고, 끝장으로 치닫기 전에 머금어야 그 맛이 깊고 흥취가 커진다. 저만 옳고 남은 그르며, 더 얻고 다 얻으려고만 들면 , 없던 문제가 생기고 생각지 못한 근심이 닥쳐온다(P210).

책은 이런 식의 주제를 4부로 나누어 다룬다. 사실 자꾸만 무너지는 내면을 세우는 데는 책만한 것이 또 없을 것이다. 잠깐 세상이라는 총알을 피해 고전의 품에 숨고 싶다면 가벼운 마음으로 <습정>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