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의 시대 - 일, 사람, 언어의 기록
김민섭 지음 / 와이즈베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오늘 소개드릴 책은 <훈의 시대>입니다. 재밌는 책이에요. 먼저 '훈'은 무엇인가. 고착화된, 규정된 언어를 의미합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시겠다고요. 조금 더 확장해볼까요. 그러니까 이를 테면 도덕적이고 교과서적인 교화말씀을 떠올려 볼까요. 이러한 ‘가르침의 말씀’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해서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지만, 어두운 곳에 숨어 개인이 주체로 서는 것을 방해하는 ‘괴물’이라고 책은 얘기합니다. 이 괴물은 “개인을 시대에 영속시키는 동시에 끊임없이 지워왔으며 특히 사유의 범위를 그 함의의 테두리에 가두고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라고 작중에서 얘기해요. 다름아닌 이 괴물을 ‘규정된 언어’라고 정의하면서 ‘훈訓’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2.

각 여고의 훈으로 지정된 이 ‘순결’은 아무래도 ‘몸을 깨끗하게 지키라’는 것이겠다. 순결함이 훼손되고 나면 더 이상 학교에서든 이 사회에서든 가치 있는 한 인간으로, 무엇보다도 여성으로서 살아갈 수 없다고 명시해 둔 것이다. 그런 와중에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된 성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힘든 일이다. 터부시해야 할 것을 전하는 일은 무척 역설적이다. 여기에 ‘여자로서 행실이 곧고 마음씨가 맑고 곱다’는 정숙함이라는 가치가 더해지면 순결은 다만 이성과의 관계뿐 아니라 모든 행실에 가서 닿는다. 그에 따르면 다소곳한 몸, 작아진 몸, 위축된 몸으로 여성은 존재해야 한다. 반면 남고에는 몸을 깨끗하게 지켜야 한다는 훈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3.

그러니까 경직된 언어를 풀어주는 멋진 책이에요. 언어는 사실상 세계라고 한 것이 누구였던가요. 실제로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고, 그 사고는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과정과 무관하게 각자는, 그 훈에 적합한 결과로 행동하고 존재해야만 했다고 책은 얘기해요. 이것을 ‘대리사회’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한 추억담이 아니라 여전히 '훈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음을, 더불어 자신을 규정하며 자신의 지향으로 여겨지는 언어를 스스로 선택하기 어려운 현실을 확인하고 있어요. 한 해를 보내며 그동안 자연스럽게 써왔던 언어와 사고들을 정돈해보는 것은 어떨지요.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