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직업 알랭 드 보통 인생학교 new 시리즈 6
The School Of Life 지음, 이지연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1.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인생학교'의 새 시리즈입니다저자는 'The School of Life'. 인생학교 팀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까요알랭 드 보통이 전두지휘를 맡고 있어서 더욱 유명하기도 한데요그러니까 취지는 이렇습니다현대인들이 겪는 대부분의 문제는 자기 이해의사소통의 결핍에 있다고 진단하고 있어요그 깨달음에서 출발한 인생학교는 '문화'를 통해 감성지능을 계발하자는 겁니다일종의 근육을 만들어준다는 것이지요삶의 '근원적인문제를 고민하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적 관점으로 여러 방안들을 제시합니다.

 






 

2.


오늘 소개드릴 책은 인생학교 시리즈 제6권인 <인생 직업>. 일종의 가이드북입니다직업을 갖는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근시안적으로는 금전적인 재정을 확보하는 것넓게 보면 본인의 만족과 삶의 질에 있을 테지요그리고 책은 이러한 성취와 진정성에 주목합니다특히직업의 수는 늘어나지만 어딘가 직업이라고 하면 획일화되고 구조화되어간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는 한국사회에서 가지는 함의가 큰 책입니다책은 본문에서 직업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풀어냅니다또한 다분히 실용적인 면모그러니까 내가 평생을 두고 즐거워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 법이랄지직업선택에 있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 등을 설명하기도 해요심지어 '연습문제'를 마련해 자기점검의 기회를 제공할 정도로 구체적인 부분도 있지요.

 


 

 

3.

 


그러니까 나의 취향내가 하고 싶은 일이토록 단순하고 편안해 보이는 명제를 해결하는 것은 실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단순히 일회성으로 마음에 들었던 일을 좋아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고본인을 객관적으로 관찰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일 테지요.



 

...그렇다고 시간에주변의 시선에 의해 쫓기듯 자신이 좋아하지도 않는 일을 직업으로 삼을 수는 없으며설령 그렇게 직업을 구했다고 해도 적응하는 게 쉽지는 않다어쩌면 여덟 살 때 오래된 집 방바닥에 엎드려 색종이를 잘라 색깔별로 늘어놓던 기억이 그런 일일 수도 있다어떤 때는 그냥 빈 스케치북에 직선만 죽죽 긋는 것이 좋았을 수도 있다…… 이런 기억을 들여다보면 나의 내밀한 감정의 역사에서 핵심이 되는 순간을 꼽을 수 있다즉 정확히 무엇인지는 몰라도 사랑스럽다거나 괴롭다는 느낌을 주었던 사건이다이렇게 별것 아닌 기억의 조각이 (그저 피상적 차원이 아니라아직도 내 안에 살아 있을 가능성이 큰 내 본성의 중요한 성향에 관해 힌트를 줄 것이다.....


책은 결국 직업이라는 소재를 통해 본인을 성찰할 기회를 제공합니다직업을 찾기 위해서는 결국 자신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으니까요그리고 자신에 대한 이해는 본인의 직업탐구와 그 성취에 대한 어떤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이 책을 많은 직장인 분들과 취업 준비생들에게 교양처럼 권하고 싶어요특히알랭 드 보통의 현학적인 수사에 매혹된 분들이라면 얼마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입니다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