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아워 2 - 생과 사의 경계, 중증외상센터의 기록 2013-2018 골든아워 2
이국종 지음 / 흐름출판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1.

 

오늘 소개드릴 책은 의사 이국종의 <골든아워>입니다아덴 만 사건 당시석해균 선장 수술을 맡으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지요작금에 이르러그를 모델로 한 드라마가 나올 정도이므로 이국종이라는 이름은 하나의 고유명사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그렇다면 그런 그가 쓴 <골든아워>는 어떤 책인가쉽게 말해서 에세이입니다다만단순히 에세이라고 칸막이를 세우기에는 글이 깊습니다아닌 게 아니라그의 손 끝에서 모래알처럼 빠져나오는 영혼들이 하루에도 수십명분일테니까요그런 손끝으로 쓰여진 글들이 애초에 얕을 수가 있겠습니까

 

 

 


 


 

 

 

2.

 


우선책은 총 두권입니다연대기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1권의 경우 2002년에서 2013년의 기록을 다룹니다그러니까 외상센터에 발을 들여놓은 시점부터 쓰여진 글입니다물론처음부터 출간을 염두해 쓰인 글은 아닙니다각종 진료기록과 수술기록 등에서 원문을 추출해와서 본인의 기억을 그러모아 응축시킨 기록들이랄까요. 2권은 2013년에서 2018년간의 기록을 다루고 있으며 1권보다 두께가 얇습니다.

 


그렇다면 1권과 2권의 경계는 무엇인가. 1권에서는 외상센터가 어떠해야 하는지 본인의 기준을 확립하는 과정이 그려집니다그 과정에서 일종의 분투기가 에피소드 형식으로 펼쳐지는데 저자의 필력이 심상치 않습니다얼마간 <숨결이 바람될 때>의 저자인 '폴 칼라니티'가 떠오르기도 하는데요진료 기록이라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정량적인 수치나 통계들로 빽빽하게 채워질 수밖에 없는 노릇인데 <골든아워>는 어떤 면에선 문학적이기까지 합니다본인이 직접 서문에서 <칼의 노래>에 의지해 글을 써내려갔다고 쓰고 있기도 하지요.

 


실제로이 전략은 굉장히 탁월해 보입니다그러니까 환자의 죽음은 의료차트표에서는 한 문장으로 정리되는 흔한 일일지도 모릅니다하지만 이 책은 그러한 사건을 결코 일반화하려들지 않아요저마다의 개별성을 확보하는 사려깊은 시선이 시종 돋보입니다난잡한 수사가 아니라 적확하고 또렷한 묘사로 환자의 죽음을 생생하게 살려내고 있어요.


 

2권의 경우아주대학 병원이 권역별 외상센터로 지정된 후의 이야기를 다룹니다국제적인 표준지침에 훨씬 못 미치는 국내의 척박한 의료 현실을 개탄하는 과정들이 담겨 있어요정리하자면, 1권은 본인의 신념과 기준이 확립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고요. 2권은 국내 의료계의 현실을 개탄하는 내용들이랄까요그리고 두 권 모두 공통적으로 환자의 죽음을 사려깊은 문장으로 호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인 가치까지 튼튼한 책입니다.

 

 

 

 

 

 

3.

 

"시스템의 부재와 근거 없는 소문들부조리가 난무하는 환경에 맞서 팀원들이 힘겹게 버텨내는 동안나는 어떻게든 본격적인 지원을 끌어들여 우리가 가까스로 만들어온 선진국형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싶었다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나는 우리가 여태껏 해온 일들이 똥물 속으로 빠져들어 가면서도까치발로 서서 손으로는 끝까지 하늘을 가리킨 것과 같았다고 생각한다하지만 곧 모든 것은 잠겨버릴 것이고누가 무엇을 가리켰는지는 알 수 없게 될 것이다......-본문 P9”

 

 

 

 

이국종이라는 인물은 지나치게 신화화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 묻는 사람들이 있습니다이 책을 읽고도 그런 소리를 한다면 아무래도 소시오패스가 아닐까...의사 이국종과 소속 동료들의 분투환자들의 호소를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 이 책은비단 의료계에 종사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그 테두리 밖에 있는 사람에게도 큰 울림이 될 것입니다혹은그러한 정치적인 관점이 아니더라도..... 아름다운 문장들과 투쟁사는 그 자체로 가치가 충분하달까요많은 분들께 일독을 권합니다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