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사이언스
피터 벤틀리 지음, 류현 옮김 / 김영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1.


  김영사에서 출간된 <굿모닝 사이언스>입니다. 국내에는 2011년에 초판이 나왔고 이동진 평론가가 특별히 추천한 과학입문서이기도 한데요. 얼마간 <시크릿 하우스>와 비슷한 향이 나는 책이기도 합니다. (참, 저도 이 책이 훌륭한 입문서라는데 크게 동의합니다.) 책의 장르가 과학교양이다보니 저자 소개를 역시 드려야 할 것 같아요. 피터 벤틀리는 우선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입니다. 생경한 이력이에요. 박사학위는 진화디자인으로 받았다고 하는데 역시 생소합니다. '디지털 생물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데 역시나 여러 매거진에 글을 기재하는 저널리스트이기도 합니다. (많은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 저는 저널리스트들의 과학교양서를 좋아해요.) 상당히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는 피터 벤틀리, 그럼 과연 본문은 어떨지 볼까요?








2.


  책은 오전 7시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니까 잠에서 깨어나는 장면에서 이 책이 시작이 됩니다. 역시 <시크릿 하우스>와 비슷한 설정이긴 해요. 그러니까 첫번째 챕터에서는 뇌파에 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휴식을 취할 때 나오는 알파파, 갓 잠이 들면서 나오는 세타파, 그리고 렘 수면과 몽유병, 잠꼬대 등에 대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나가게 돼요. 대충 어떤 방향으로 책이 흘러갈지 짐작이 됩니다. 사실 저는 7시가 아니라 8시에 잠에서 깨어납니다만 책은 7시에서 일어난다고 하니 조금 더 소개를 드릴게요. 7시 10분에는 머리를 감으러 욕실에 들어갑니다. 바로 두번째 챕터는 그 욕실에서 비누를 밟고 미끄러지는 얘기를 하면서 비누, 즉 계면활성제의 원리를 풀어나가요. 어이가 없지만 인체생리학에서 유기화학으로 유려하게 방향을 트는 저자의 필력에 감탄하며 책장을 넘기게 되는데요. 8시 10분에 앉은 아침시사 자리에선 상해버린 우유를 만나게 되고요. (역시 우유의 부패과정이나 제조과정을 다루게 됩니다.) 9시 30분에는 껌이 붙게 되는데 그 껌을 떼어내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까지 서술하게 됩니다. 이동진 평론가가 괜히 추천하는 책은 아닌 것 같아요. 그러니까 이 책은 과학도가 아닌 일반 대중들에게 있어서도 상당히 흥미로운 과학교양서적이기도 하고, 그런 것엔 개뿔 관심이 없어도 재미만으로도 읽어나갈 수 있는 책이기도 합니다. 



3.



"정말 긴 하루였다. 온몸이 성치 않으니 마음도 심난하고 편치 않다.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면 그나마 마음을 진정시키고 편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을 것 같다......


욕조에 물이 넘치는지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린다. 후닥닥 욕실로 뛰어간다. 그런데 급한 마음에 달려가다가 발가락이 욕조 벽에 쿵 하고 부딪힌다. 부딪히는 순간에는 별 이상이 없었는데 이내 엄청난 통증이 전해진다...-본문 p300."







  책은 매 시간마다 이러한 일화들을 수록하고 그 뒤로 에피소드에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풀어놓게 됩니다. 그러니까 위에 소개드린 일화에로부터는 C섬유와 A섬유를 통한 통각경로를 서술하게 되겠지요. 이게 전공서적에서 만나게 될 때는 수초나 직경, 전도속도같은 따분한 이야기들로 점철될 줄 알았는데 저자는 이런 표현을 하고 있어요. '크리스마스트리에 불이 들어오는 것처럼 뇌 전체에 불이 환하게 들어온다.' 굉장하죠? 전공서적도 이런 비유들로 구성되어 있으면 얼마나 공부하기가 수월할까요. 얼마간, 책은 브래디키닌같은 생경한 개념까지 소개하고 있어서 어느 정도 깊이도 있는 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확실히 소개드린 것처럼, 사려 깊은 비유와 문장들이 많아서 많은 분들에게 교양서적으로 추천드리고 싶은 책이에요. 그럼 이만 글을 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