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쑹훙빙 지음, 차혜정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오늘 소개드릴 책은 <화폐전쟁>으로 잘 알려진 저자, 쑹훙빙의 신간 <관점>입니다. 먼저 저자소개부터 할까요. 국제금융학자로 방금 말씀 드린 화폐전쟁이라는 키워드를 가장 먼저 제창한 사람이 이 분입니다. 이제 매체에서도 종종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패러다임을 직조할 수 있는 저자라는 점에서 신간에 대한 기대가 컸던 모양이에요. 오늘 소개드릴 <관점>의 경우, 일종의 유튜브 (정확히는 'youku'라는 중국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업로드되던 온라인 토크쇼를 지면에 옮긴 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가장 빠른 속도로 1억 회를 돌파했다니 이미 스케일부터 중국답다고 해야 할까요.




2.

  책의 목차를 보겠습니다. 그러니까 양서라고 한다면 확실히 차례만 보고도 어느 정도 가늠이 되는 것으로....<관점>의 경우도 구획화가 굉장히 잘 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책을 총 세 개의 챕터로 나누어 얘기하는데 첫번째가 시사, 둘째는 경제, 셋째는 역사입니다. 상당히 굵직굵직한 테마들이라 이것들을 한 물줄기로 잡아 끌어내려면 상당한 역량이 요구될 텐데요. 관련해서는 조금 뒤에 얘기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이미 <화폐전쟁>이라는 걸출한 저서로 적립해 온 저자의 문장들이 얼마간 <관점>의 컨텐츠도 보장할 테지요. 

  다음으로, 각 챕터는 대략 10장 정도씩 해서 총 28장으로 구성되는데 1장부터 심상치 않습니다. 그러니까 1장에서는 예맨에 대해서, 2장에서는 남중국해에 대해서 다루고 있어요. 사실 현대사의 경우, 그것을 들여다보는 시점 역시 현대라는 묘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 판단이 유보될 수밖에 없고 저자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리스크가 큰 소재이기 때문에 기피소재 1호랄까요. 그런 면에서 1장부터 예맨에 대해서 얘기할 수 있는 어떤 깜냥에 감탄하게 됩니다. 

  사실, 이런 분쟁에 관해서라면 시종 뉴스에서 떠드는 것들이지만, 얼마간 독자나 청자가 어느 정도의 기본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면 그냥 그런 것인가....하고 넘어가는 수준에 그칩니다. 사실 가장 많은 책들이 쏟아져야 할 부분이 이런 현대사와 시사 관련 저술일 텐데요. 저자의 경우, 괄목한만한 통찰로 (특히, 중국에서 쓰여졌다는 사실만으로 이미 <관점>이 가지는 특별한 위치가 있달까요.) 시사를 잘 다뤄내고 있습니다. 



3.

  대체 뭘 그렇게 잘 다뤄내고 있다는 것이냐...그렇다면 이제 책의 몇몇 부분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스라엘의 보안 검색은 나도 직접 경험한 적이 있다. 웨이보에 6월쯤 이스라엘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포스팅을 한 지 5분도 되지 않아 이스라엘 대사관에서 메일이 왔다."



  하필 이 문장을 선별해 온 이유는 이 책이 얼마간 상당히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서술되었다는 점을 보여드리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니까 저자의 경우, 이스라엘의 보안검색과 그 효율성에 대해서 얘기하면서 이처럼 개인사례를 들어 얘기하기도 하는데요. 위의 메일의 경우, 저자에게 차라도 한 잔 하러 오시라는 유례없이 친절한 메일을 받은 저자의 경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런 얘기들이 삽화처럼 들어가게 되면 사실 어느 정도 난삽해질 위험도 있는데 이 책의 경우 우선 유튜브에 연재되던 시원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상당히 깔끔하게 관련 내용들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예시들이 상당히 풍성해요.

  하지만, 와중에도 깊이는 잃지 않습니다. 멀리 갈 필요도 없이, 책은 1장부터 '시아파'와 '수니파'에 대한 얘기를 하게 됩니다. 귀에 익은 얘기들인데 대부분이 설명하지는 못하는 용어들이기도 하지요. (제가 여기서 단어들을 설명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 같고, 궁금하신 분들은 서칭보다는 1장을 권합니다. 1-2페이지 분량으로 쉽게 설명돼 있어요. )그러니까 저자는 국제정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얼마간 깊이를 확보해나가면서 논지를 전개합니다. 결코, 만만한 책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탁월한 부분이 있는 책이지요.

  챕터 3에 대한 얘기로 서평을 마칠까 합니다. 사실 이러한 얘기들이 책의 형태로 편집되면서 가장 역점을 가지는 부분이 3장이 아닐까 해요. 전형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일종의 세계사를 중국의 저자가 서술해나간다는 점에서 상당히 낯설고 묘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사실 중국의 위치는 이미 현대사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므로 자칫 오만하게 비친다거나 편향돼 보이기 쉽잖아요. 물론 그런 부분이 없잖아 있습니다만 오히려 이 책의 경우 그런 부분들이 매력적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얼마간, 완전한 역사에 관한 얘기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경제라는 백그라운드를 바탕으로 얘기를 전개하고 있어서 다른 역사서들과 차별화를 두기도 하지요. 그러니까 역사를 얘기하고 있음에도 시종 석유에 관한 이야기라던가, 경제 제재에 관한 이야기라던가, 세금, 탱크, 농경 문명, 납세 등에 관해서 집요하게 파고드는 미시사를 선사하기도 하지요.


  중국에서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어떤 관점, 혹은 당장 뉴스나 매체에서 쏟아지는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에게 특히 일독을 권합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넓혀줄 책, <관점>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