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링 라이즈 - 상대의 속마음을 간파하는 힘
폴 에크먼 지음, 이민주 옮김, 황상민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catch me if you can)에서 주인공 프랭크는 거짓말을 하기 위해 태어난 듯 보입니다.

술술 거짓말을 지어내는 주인공이나 주인공의 화려한 외모 혹은 잘 만들어 놓은 상황에 홀딱 넘어가는 사람들은.

마치 짝을 마추어 놓은 듯이 잘도 흘러가더군요.

 

선천적이든 아니면 후천적인 노력의 결과든 타고난 거짓말쟁이 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동물들도 의사소통을 하긴 하지만 인간만큼 비유나 은유 혹은 왜곡이나 은폐를 복잡 정교하게 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옹알이를 끝내고 말문이 터져 쉴새없이 떠들게 되면서 인간은 거짓말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되는 것 같아요.

 

또 하나의 거짓말에 대한 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거짓말 자체에 대한 논의를 벗어나서 어떻게 거짓말인지 알아낼 수 있나? 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저자는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로 비언어적 커뮤니테이션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라고 하네요.

그래서 책은 대부분 비언어적인 증거들을 내세워 거짓말을 구분하는데 많은 할애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표정의 변화, 제스츄어 등입니다.

 

피노키오처럼 거짓말을 하면 너무나 자명하게 티가난다면 참 편할텐데.

인간은 아무리 거짓말을 해도 코가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

대신에 가끔 얼굴이 빨개지거나 눈동자가 불안하다거나 혹은 손이 갈팡질팡 한다거나.

하는 등의 단서들을 흘릴 경우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실제로 그것이 거짓말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감정들에 이끌린 자연스러운 행동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범죄에서 사용하는 거짓말 탐지기도 이러한 신체의 변화에 대해 감정하는 것일 뿐.

정확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사회가 복잡 다양해지면서 거짓말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특히 범죄 수사에서는 그 니즈가 가히 대단하다고 합니다.

저자는 미국국가기관의 도움을 주고받으며 거짓말에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데.

거짓말을 알아내는 연구가 나름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하는군요.

 

새로웠던 사실은 거짓말은 크게 두가지로 '은폐' 형 거짓말과 '왜곡' 형 거짓말로 나뉜다는 사실.

다 같은 거짓말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리고 거짓말을 하는 당사자뿐아니라 그 거짓말을 믿고 싶어하는 수용자에 의해 거짓말이 완성된다는 사실.

이런 사실들은 참 흥미로웠습니다.

 

다만 비언어적인 단서들을 주르륵 늘어놓고 장황하게 분석하고 있는 듯한 중반 이후부터는.

좀 지루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