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거짓말쟁이들 - 누가 왜 어떻게 거짓말을 하는가
이언 레슬리 지음, 김옥진 옮김 / 북로드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거짓말에 대한 모든 담론을 다룬 이 책의 시작은 다소 발칙하다. 
 
"간단히 말해서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우리 본성의 왜곡이 아니라 그 핵심이다

.
속이는 능력과 속임을 알아채는 능력은 인간에게만 있으며,
우리의 모든 관계에서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속임에 대해 먼저 이해하지 않고서는 인간사회를 이해하거나 심지어 우리 자신을 이해할 수 없다."
즉, 속고 속이는 것이 인간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누구나 피노키오를 마음속에 두고 나도 모르게 혹은 내 허락을 받은 피노키오가
삐죽삐죽 나와서 자기 멋대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다.
그 다음 문장은 더 발칙하다.
 
"실제로 거짓말을 한 이가 있다면 그는 바로 신이다.
신은 아담과 하와에게 열매를 먹는 바로 그날, 그들이 죽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쨌든 그들은 먹었지만 갑자기 죽어버리지는 않았다.
신은 솔직하지 않았다.
신이 속이지 않고는 해낼 수 없다면,
과연 우리 중 누가 그럴 수 있겠는가?"
라면서 신에게까지 우리 마음 속의 피노키오를 책임지라고 하고 있다.
이거참...
 
사실 저자의 말이 맞는 구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니 모두 맞다.
그가 11장에 걸쳐 풀어놓은 인간의 거짓말에 대한 담론은 구구절절 다 사실인 것이다.
이 책에는 그야말로 거짓말의 모든 것이 담겨져 있다.
거짓말을 하는 유일한 동물이라는 인간으로 부터 시작해서
(사실 말을 하는 유일한 동물이기도 하지만)
어린이들의 거짓말, 성인의 거짓말과
거짓말에 관한 실험들과 이론 그리고 거짓말을 통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에피소드까지 없는게 없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본인은 이 책과 동시에 '한국인의 심리학' ,
그리고 '설득의 심리학' 이라는 책을 함께 읽고 있다.
그로인해 조금 위로가 되는 것은
이 책 '타고난 거짓말쟁이들' 에서 바라보는 것 처럼.
인간이 속고 속이는 것을 항상 의도한다기 보다는
인간 자체가 불완전한 생명체이기 때문에 겪는 숙명이라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저자가 서두에서 밝혔던 것처럼 거짓말이 인간의 핵심이라기 보다는
자신의 불완전함을 극복하려는 그 어떤 노력이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아..
그런데 그래도 혹시 위로가 되지 않는다면.
오늘 부터는 거짓말을 조금 줄이는 연습을 하시는 것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