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댑트 - 불확실성을 무기로 활용하는 힘
팀 하포드 지음, 강유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경제학 콘서트로 잘 알려진 톰 하포드의 신작 '어댑트' 를 읽었습니다.

사람들의 행동이 이성적이지만은 않다는 것,

그리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들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그의 전작을 무척 흥미롭게 읽었기 때문에

기대를 좀 하고 읽었습니다.

'어댑트' 역시 마찮가지로 이 책도 우리가 의심없이 지나치고 있는 일들에 의문을 품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양한 예들을 통해서 말이죠.

세상이 워낙 복잡하고 다양해져서 그만큼 이 세상의 모든 문제들도 다양하고 복잡한 성격으로 나타나죠.

이제는 개인이 처리할 수 없는 거대한 일들 예를들면 지구 해수면 상승 같은 문제들이 다반사이구요.

사람들의 삶과 조금 더 밀접한 예로는 경제 문제도 있겠네요.

하여간 우리는 이렇게 다양한 문제를 끌어안고 아둥바둥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출처 www.gettyimages.com)


토스터 하나 만드는데 평생이 걸릴 수도 있다.

이 책은 토스터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토스터는 비교적 간단한 기계입니다. 전혀 스마트 하지않죠.

하지만 이 간단한 토스터기를 개인이 혼자 만든다고 상상해봅시다.

이 간단한 기계는 수만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각 부품은 세계 각지에서 만들어집니다.

개인은 토스터기를 만들기 위해 평생이 걸릴 수도 있는 것이지요.

그만큼 세계는 복잡하고 다양해져 버렸습니다.


스마트한 리더의 역량은 믿을만한가?

우리는 우리보다 똑똑한 사람을 뽑아서 결정권을 위임합니다.

리더는 한 나라를 이끌기도하고, 국제 기구를 이끌기도 하지요.

또한 각 기업은 가장 똑똑한 사람을 대표이사로 임명합니다.

그들은 각자의 역량을 이용해 그룹을 이끌어갑니다.

우리는 리더의 결정에 따라 운명을 달리하게 되구요.

그러면 과연 리더는 믿을만 할까요?

역사를 찾아보면(멀리볼 필요도 없습니다) 리더 한 사람으로 수 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지요.


똑똑한 인재들이 모인 그룹은 왜 실패할까?

전략적으로 구성된 인재들이 모은 그룹은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을 내놓을 수 있는 것일까요?

20세기 초 미국의 번영에 물결에 수많은 초우량 기업들이 만들어지고 역사를 써내려갔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수많은 책으로 나왔죠.

하지만 지금 그들 중 대부분은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렸습니다.

똑똑한 인재들만 모였던 그 초우량 기업들은 모두 어디로 가버린 걸까요?



이 책은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 즉, 실패와 혁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말콤 글래드웰이라고 표지에 써 놓으셨는데, 사실 두분은 비교의 기준이 좀 이상한것 같구요.

팀 하포드는 진짜 경제학을 전공해서 전문적인 경제 컬럼니스트라 그런지 글이 조금 아카데믹한 것 같아요.

경제학 콘서트때는 몰랐는데 어댑트는 조금 지루했습니다.

아마도 전작은 생활인의 관점으로 정말 쉽게 풀어쓴 경제 전반의 이야기고,

어댑트는 실패와 혁신에 대한 좀더 복잡한 이야기라서 인지도 모르겠어요.

저야 아무거나 읽어제끼는게 취미지만, 일반 독자들은... 글쎄요.





------------------------------------------------------------------------------------------------------------------

세계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며 그 안에 존재하는 문제들 또한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한다.

나는 그런 문제들 사이에 우리가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공통점이 내포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신기하게도 그 문제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대수롭지 않은 문제점들과도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런 문제점이 해결된다는 건 거의 기적이나 다름없다.

이 책은 그런 기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게 왜 그렇게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그런 기적을 좀더 잦 일으킬 방법은 없는지를 다루고 있다.

-18


새로운 기술을 장려하는 데 필수적인 두 가지 핵심 원칙을 살펴보았다.

첫째, 무엇이 효과적일지 서로 상충되는 관점을 내재한 듯이 보이더라도 대부분이 실패할 것을 염두헤 두고

가급적 많은 실험을 시도해야 한다.

둘째, 실패의 가능성이 보이더라도 성공에 대한 엄청난 보상을 생각해서

장기적인 안목을 지닌 실험을 장려해야 한다.

하지만 대다수 정부 지원 프로그램은 이 두 가지 원칙에 대치된다.

정부기관들은 거창한 계획을 좋아하고,

그 계획이 정확히 어떻게 달성 될 것인가를 알고 싶어한다.

-153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