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우리는 보통 성공한 사람들의 특별한 재능이나 스스로의 노력에 조명을 비춘다.
누군가의 성공을 바라볼 때 우리는 '그 사람은 원래 잘했어!', '그 사람은 타고났어!'하는 말들을 자주 하게된다.
정말 능력은 타고나는 것일까? 성공하는 사람들은 날 때부터 정해진 것일까?
작가는 우리가 주목하고 있던 그 특별한 재능과 스스로의 노력에서 조명을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바로 주변환경이다.
말콤글래드웰은 유연하게 관점바꾸기를 시도했다.
그의 전작들 티핑포인트와 블링크에서 그랬던 것처럼.
그는 성공의 조건이 개인적인 특성의 것만이 아니라 뒤의 숨겨진 이점과 특별한 기회, 그리고 문화적 유산의 혜택 같은 요소들의 어울림이라고 한다.
1장에서 밝혔듯이 이 책은 키가 큰 나무 자체에 대한것이 아니라 그 나무가 자라난 숲에 관한 책이다.
이책을 통해 성공에 대한 궁금점 2가지를 정리할 수 있었다.
1.성공하는 사람은 정해져 있는가? 선천적 재능을 타고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터마이트(Termites)라고 불리는 타고난 천재들의 실험에서 그들 모두가 성공한 것은 아님이 밝혀졌다.
특별히 지능이 떨어지지 않는한 아주 높은 지능지수를 가진 사람이나 평범한 사람이나 모두 성공할 수 있다.
그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한 1만시간을 투자한다면 말이다.
"우리는 보통 수학을 잘하는 재능은 타고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쇤펠트는 재능보다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시도하고자 하면 수학을 마스터할 수 있다는 얘기다. 쇤펠트는 학생들에게 그것을 가르치고 싶어한다.
성공은 대개 보통사람이 30초 만에 포기하는 것을 22분간 붙잡고 늘어지는 끈기와 지구력, 그리고 의지의 산물이다."
p282
2.스스로의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인간은 사회속에서 살아간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이 선천적인 특별한 재능을 가졌다 하더라도 후천적 환경에 따라 그 재능이 두드러지게 발휘될 수도 묻혀버릴 수도 있다.
변변치 않던 비틀즈를 주변환경은 대단한 그룹 비틀즈로 만들어 놓았다.
빌 게이츠는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났다.
작가의 관점에 따르면 사람들의 성공은 그들의 어마어마한 재능에 따른 것이 아니라 숨겨진 이점과 그에게 찾아온 기회에 있었다.
"우리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지 않는다. 우리는 부모와 후견인에게 뭔가를 빚진다. 왕 앞에 서는 이들은 모든 것을 스스로 해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들은 숨겨진 이점과 특별한 기회, 그리고 문화적 유산의 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바로 그러한 요소들이 그들로 하여금 다른 이들과 달리 열심히 배우고 일하고 세상을 바라보도록 해준다. 언제 어디에서 성장했느냐의 문제는 큰 차이를 만든다. 우리가 속한 문화와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것은 성취의 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성공한 사람은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를 묻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그들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알아야만 어떤 사람은 성공하고 또 어떤 사람은 성공하지 못하는 현상의 이면에 깔린 논리를 밝힐 수 있다."
p32
성공에 대한 궁금증 해결과 더불어 책에는 대한항공의 이야기가 나온다.
작가는 한국 문화의 특수성과 그에 따른 장점과 단점을 살짝 지적해 주었다.
타문화의 관점에서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이 느껴졌다. 이점이 흥미로웠다.
다양한 예들로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고 있던 성공에 대한 다른 관점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CEO가 휴가에 읽어야할 책 목록 중 한권이라고 한다.
CEO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읽어볼 가치가 있다.
무엇보다도 말콤 글래드웰의 글은 신선하고 쉬워서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