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레디컬 에콜로지
캐롤린 머천트 지음, 허남혁 옮김 / 이후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그녀는 기존의 자연과 인간만의 관계에 몰두하여 유토피아적 이상을 쫓던 기존의 생태론이 가지고 있었던 한계들을 지적하고, 인간 사회의 윤리, 사회 제도에 대해서부터 다시 출발하기를 주장한다. 그녀는 생태계의 변화만이 아니라 오늘날 환경 현상의 궁극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인간의 윤리적, 정치적, 경제 제도로부터 새 모색을 찾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머천트는 서론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생산과 생태와의 모순 관계 그리고 인간 사회의 생산과 재생산의 모순이야말로 오늘날 생태 위기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이에 해결 적인 답안으로 여성 생태론의 입장에서 생산과 재생산의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다고 본다.그녀는 여기서 지속 발전 가능한 발전이라는 대안을 내 놓고 있는데,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 지구의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는 국제 기구인 유엔에서부터 환경친화적인 생산을 추구하는 지역 운동까지 포괄한 의미로서 자연의 생물학적관리, 생태계의 복원, 자신의 지역을 돌보는 생물 지역론 등 다양하고 광범한 방식으로 보존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급진 생태론은 아직 일관적인 이론이나 운동조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 문제가 상호의존적인 것처럼, 제1세계, 제2세계, 제3세계의 극빈적 생태운동 속에서 이론과 실천은 서로 연결되면서, 서로 정보를 제공하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면 그녀는 결과적으로 생태 위기는 사회와 자연(생산과 생태)의 모순, 사회 내부(생산과 재생산)의 모순에 따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책은 70년대 이후 등장한 서구 환경 시민 운동에 주소와 방향에 대한 좋은 개설서로 생각된다. 다만 옮긴이의 말에서 보았듯이 이 책의 의도는 생태론의 교과서적 입문서이다. 덕분에 책 중간을 넘겨도 그 분량에서 의도하고 있는 전체적인 내막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만큼 책 흐름이 피상적이고 비구체적이라는 인상을 지울수 없다. 꼭 필요한 내용만 있는 교과서 마냥 딱딱하고 건조하며 실질적인 문제에서는 다소 피상적인 접근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책 전반에 흐르는 문제점은 이러한 교과서적 간결함과 그에 따른 피상적인 접근 그리고 그에 따른 전체적인 건조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 - 시공로고스총서 36 시공 로고스 총서 36
크리스토퍼 제너웨이 지음, 신현승 옮김 / 시공사 / 2001년 9월
평점 :
품절


한 개인의 사상가를 소개한 개설서를 읽는다는것은 싫던 좋던 한 개인의 주관이 들어간 2차 작업을 다시 보는 것임으로 한 사람의 우주를 읽어나가는데 자칫 왜곡된 위험이 따를수 있다. 일례로 같은 출판사의 총서중 '맥루언' 개설서를 보고 있노라면 끝까지 맥락주의적 비판조로 유지하다가 정작 진정 맥루언의 사상 주장과 그 의의를 알려주지 않고 끝을 맺고 있어서 이 책이 과연 맥루언에 대한 개설서인지 아님 단순한 안티 서적인지 책의 성격마져 의구심과 안타까움만 가지게 한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은 쇼펜하우어에 대한 그의 생애와와 그의 철학사적 위치 그리고 그의 사상을 소개하는데 부족함이 없게 기술되어 있다. 잛은 분량이지만 그의 대표적인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그리고 그의 미학 사상, 윤리학 등과 각종 사적 영향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책은 쇼펜하우어하면 우리에게 막연하게 염세주의 철학자라고 생각하는데, 그가 왜 그러한 염세주의적 색채를 띄게 되어가는가를 살펴가면서 한편으로는 삶을 사랑한 한 철학자를 소개하고 있다.

그 동안 사실 쇼펜하우어의 사상은 대중적인 인지도에 비해 그 동안 그의 관련 개설서가 미비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상하게도 그의 대표적인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 세계와 몇몇의 잠언적 저술등이 국내 번역되어 있지만 대중적 인지도에 비해 체계적 정리 도서는 이상하게도 찾기 힘든 환경이었다. 철학사 책에서도 단순히 근대 철학의 외곽 아웃사이어로 잠시 쉬어가는 코너 마냥 기술되어있는 현실에서 쇼펜하우어에 대한 잛지만 알찬 개설서가 나온것 같아 반가울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앞에선 철학자
미하엘 하우스켈러 지음, 김현희 옮김 / 이론과실천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책은 저자가 독일 프랑크푸르트 시내 룬트샤우 신문에 기고했던 16명의 사상가들의 미학 사상을 요약한 글 모음이다. 신문에 기고를 염두했던 글인 만큼 사상가들의 주장의 핵심과 배경을 교묘히 결합해서 풀어 놓고 있는데, 한 사람도 아닌 16명의 사상가들을 요약 정리하고 있는데 있어서 핵심을 지적하면서 동시에 미학사에 있어서 흐름을 놓치지 않고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는 저자의 글 솜씨에 놀라울뿐이다.

사실 플라톤으로 부터 단토에 이르기까지 그들에게 있어서 예술과 미라는것의 배경과 사상의 중심 여부는 각자가 너무나도 다르기에 이들의 사상을 요약 정리해서 풀어나가기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주장을 오도할수 있는 위험이 있기에 소개되고 있는 아노르노 경우처럼 어쩌면 소개된 사상가들에 의도에 의해서 거부 될 수 있는 작업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의 글들은 사상가의 하나 근본적인 주장의 핵심을 포착하고, 그에 맞게 미학사적의 구조에 맞춰나가 명료화 하는 작업을 보이고 있는데. 그 결과는 비교적 성고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아쉬움이란 번역되서 나온 글인만큼 중간 중간 거친 철학 용어가 아무런 여과 없이 그냥 번역되어 타 전공자 출신 읽는이들에게 피곤함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어제 오늘 미학, 철학서들의 번역 문제가 아니기에 옮긴이를 탓하기 보다는 기존 인문학 분위기를 탓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학, 철학에 굳이 관심 없는이라도 저자의 작업들이 비교적 쉽게 쓰여져 있는 편이라서 큰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