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 미래
제임스 리카즈 지음, 안종설 옮김 / 해의시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재테크 책을 열심히 읽고 있다. 주식, 부동산과 더불어 금 또한 재테크의 한 분야로 빠질 수 없는 존재. 작가는 금에 대해 어떤 인사이트를 가지고 있을지가 궁금하여 책을 펼치게 되었다.

포트폴리오 10%를 금에 투자하라, 그리고 관망하라.

책의 표지에 쓰인 글귀이다. 자산의 10%는 금에 대해 투자를 할 것을 당부한다. 이것이 재테크에 관심 있어서 책을 보게 된 사람들에게 해주고 싶은 핵심 문장인 듯하다. 책은 얇고 가볍지만, 안의 내용은 절대 가볍지 않다. 사실 한 번에 끈덕지게, 속도감 있게 읽지는 못했다. 너무 많은 일에 치인 한 주요서 그런 거 일수도 있지만, 역사적인 내용과 원론적인 부분도 담고 있기에 깊이를 내가 아직 따라가지 못했던 것 같다.

금의 가치에 대해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구도에 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입장마다 작가는 차분하고 논리정연하게 반박한다. 금은 아직 전재하며 여전히 돈으로써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작가의 주장이다. 이걸 부정한다면 왜 다른 나라와 IMF가 계속, 꾸준하게 금을 사 모으는 걸까? 달러를 찍어내는데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의 돈으로서의 가치를 부정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금은 보험이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비하는 보험이다. 금이 왜 다른 자산에 비해 안 오를까? 보다는 왜 다른 자산이 떨어질 때 떨어지지 않는가? 에 초점을 맞춰봐야 한다. 디플레이션에도 가치를 잃지 않는 진정한 가치의 자산이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모두 이기는 몇 안 되는 자산 가운데 하나이며 모든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에 한 자리를 차지하는 존재이다.

금은 상수다.

책의 핵심인, 투자 가능 자산의 10%를 금으로 비중 둘 것을 조언한다.

금융시장의 패닉 발생하더라도 (금의) 부의 보존 위해 장기간에 걸친 바이앤홀드 포지션을 취해야 한다. 가격변동에 연연하지 말고 가격이 내렸을 때 사는 것이 좋다. 오히려 매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금은 탄력적이다.

금의 가치는 지극히 적대적인 환경에서도 탄력성을 보여준다. '금의 되돌림', '50%의 되돌림'을 기억하자. 어느 정도의 패턴에 따라 등락을 하며 안정적인 가격으로 되돌아오는 탄력성을 보여준다. 추가매입의 신호탄을 잡으며 기회를 놓치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