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여행법 - 10년 차 기획자가 지켜온 태도와 시선들
조정희 지음 / SISO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고른 이유는 기획자는 어떻게 여행을 하나, 특히 어떻게 계획 하나가 궁금해서 읽기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책의 앞쪽은 기획자의 '여행법'이었다면 뒤쪽은 '기획자'의 여행법인 느낌이었다. 기획자는 얼마나 꼼꼼하게 여행 준비를 할까, 나도 팁을 얻고 싶다 라는 생각에 여행법에 집중한 부분을 더 선호할 줄 알았는데 책을 다 읽고 나니 기획자의 시선에서 보는 여행도 나에게 유용하게 와닿았다. 요즘 다채로운 생각을 하고 싶은 나여서, 더 이상 매너리즘에 빠져 살고 싶지 않아서 시선을 좀 다양하게 두고 싶은 노력을 하고 있기에 더욱 그렇게 느낀 것 같다.

글쓰기 수업에서 글 혹은 책을 쓸 때 글의 카테고리를 더욱더 좁고 디테일하게 잡으라는 조언을 해주셨다. 그런 면에서 기획자의 여행법은 디테일한 카테고리의 여행 서적이라 주제도 더 잘 전달하고 독자들의 관심을 더 끌 수 있는 듯하다. 기획에 몸담고 있거나 관심이 있는 분들과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목을 모두 끄는! 그리고 양쪽의 니즈도 적절히 다 수용하기에. 내 커리어와 기획 분야는 당분간 연관이 없지만, 흥미로운 분야라 눈이 갔는데 읽고 나니 그냥 삶의 지혜를 얻는 느낌으로 와닿았다. 꼭 커리어 적으로 관련이 없더라도 기획자의 마인드로 여행이든 일상을 보면 더 효율을 추구할 수 있고 사람과의 소통에도 도움이 되고 글도 더 잘 쓸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기획자는 아니지만, 다음엔 컨셉 있는 여행을 해봐야겠다. 주제를 하나 정하고 키워드와 주제에 집중하고 꼬리에 꼬리를 물며 생각해보는 여행. 혹시 아나, 갑자기 창업의 힌트를 여행 속에서 얻을지! 지금 내 상황에 안주하며 살고 있기는 하지만, 하고재비는 여기서 멈추지 않겠다는 야망이 간혹 꿈틀거리며 올라온다. 내 앞길이 정년퇴직일지 뭘 지는 60살 되기 전까지는 모르지! :) 인상 깊게 본 아이디어를 모아 나가기 위한 여행 팁 중 하나는 바로 여행 일자를 적은 지퍼백에 일자별로 자잘한 종이들과 기타 보관하고 싶은 것들을 죄다 집어넣는 것이다. 혼란을 줄여주고 날짜별로 묶으면 나중에 기억하기도 쉬울 방법이다. 간단하지만 나는 전혀 생각 못 한 신박한 방법이다. 그리고 시간이 날 때마다 필요 없는 사진과 정보들은 정리정돈 하는 것도 중요하다. 정리정돈의 기준은 내가 정한 주제에 따라 불필요한 것은 미리미리 버려주는 게 포인트다. 나도 여행할 때 기록을 위해 모아둔 적이 있지만, 정리정돈이 안 되어서 유용하게 쓰이지 못했다 그동안. 신혼여행과 가족여행의 자료들이 그냥 그렇게 종잇조각들로만 남아버렸다. 의미가 덜한 것은 버릴 때 버려줘야 더 중요한 것들이 도드라질 텐데 그리고 나중에 한꺼번에 하게 되면 내 기억이 휘발되어 분류가 쉽지 않아져 결국은 모든 기록물의 중요함도 없어지고 가치가 퇴색되는 것 같다. 시간이 날 때마다 정리정돈하거나 잠들기 전에 한 번이라도 들여다보는 습관을 들여도 좋을 것 같다. 망각곡선의 법칙처럼 긴 시간이 흐르기 전에 한번 다시 되새김질해 주는 정도라도.

확실히 되새김질의 과정은 기억을 장기화시켜주는 것 같다. 가족 여행 갈 때 작정하고 짰던 계획 덕분에 그리고 그 이후에 기록으로 남긴 덕분에 친정 식구와 남편과 간 베트남 무이네 여행은 내 머릿속에 비교적 단단히 박혀있다. 반면 친구 뒤만 따라간 영국 여행은 슬프게도 별로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베트남 여행의 기억 덕분에 이후로도 계획을 나름 체계적으로 세우고 기록으로 남겨야지! 마음먹었지만, 세상에 코로나가 날 가로막네. (그 이후로 여행이라할 만한 것을 하지 못했다.. 속상) 즉흥적인 것을 좋아하고 여유 있게 걷는 것을 더 즐기고 나랑 맞다고 생각했지만, (내심 계획을 잘 짜고 잘 지키는 사람들을 동경해옴) 내가 동경한 부류의 여행을 해보니 생각보다 나랑 맞아서 뿌듯했던 기억이 있다. 나도 이게 가능한 사람이구나? 하면서:)

작가님의 말대로 여행은 목적이 있어야 하고(가족여행), 기록을 해야(포스팅) 기억에 오래 남는듯하다. 특히 포스팅은 내 기록이 쌓여가는것 뿐만아니라 관심사에 따라 랜선으로 관계를 맺는 사람들이 생긴다는 것도 매력적인 장점이다. 베트남 여행 포스팅 덕분에 한 언니와 연이 닿고 어느새 둘 다 아기엄마가 되어 지금은 랜선 육아동지가 되었다. 지금은 인스타그램으로도 열심히 기록을 남길 마음의 준비가 되었는데 애석하게도 현실이 따라주지 못한다. 작가님은 미리미리 틈틈이 조사를 해 둬서 지금 당장 바로 떠날 수 있는 여행지가 50군데는 된다고 했는데 이렇게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시니 나도 나만의 데이터를 만들어놓고 싶은 열정 뿜뿜 솟았다. 한 번에 하면 힘드니 인스타그램에 관심 가는 여행 피드가 보일 때마다 차곡차곡 잘 정리해둬야겠다 싶다. 아 정말 여행 가고 싶다.

그리고 역시 이번에도 무엇을 이루기 위한 과정은 다 비슷하구나. 모든 것의 기본은 다 똑같다는 것을 느꼈다. 영감을 위한 인풋을 많이 하고, 키워드에 집중하고, 아웃풋을 남기고, 잘 쓴 기획서를 베껴써보고(모방해보기), 한계 긋고 생각하지 않기, 뭐든 일단 시작하기 등등은 글쓰기, 사진찍기 실력을 성장시키는 방법과 일맥상통했다. 하나의 습관을 만들면 유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아 어서 내 습관에 굳은살을 만들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