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람이 전하는 조선 통신사 이야기 - 배가 들어오는 날 담푸스 그림책 12
고바야시 유타카 글.그림, 김난주 옮김 / 담푸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일본 사람이  전하는 조선 통신사 이야기...
이책은  작가가  고바야사 유타카 라는  일본인이라서 책의 내용이 더  궁금했던 책이다

3백년전  일본의  에도시대에 일본으로  문화를  전하러  간  조선 통신사들을 
일본인들이  어떻게  보았는지  알 수있었다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한 임진왜란이 일어났는데
그  오사카 성을 이웃나라 관료들이 매서운  눈초리로 오사카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라는
구절에서 작가가 객관적인  상상력으로 묘사를 하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임진왜란때  조선백성들이 겼었던 일을  생각하면  기분이 좋지 않았다..

하지만  이책에서 조선 통신사들을  반기며 맞이하는 조그만  마을 사람들과
이책에서 이야시를 끌어가는 토메와 이치라는 아이와
임진왜란때 조선에서 끌려온 사람들의  후손인 헤이조 일행들을 보면서
기분나쁜 생각은 잠시 내려둘  수  있었다.
이책은  조선통신사의 행렬과 평화로운 축제를  즐기는 일본의 조그만 마을 사람들을
묘사한  일러스트들이 글못지않게 잘 묘사되어 있어 아이들이 읽기에 좋은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며 임진왜란과  조선의 조선 통신사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아이와  알  수있어 좋았던  거  같다.

책의 끝부분의  일러스트는  작가가 말하려고 하는  것을
잘 보여주는 것 같다.
조선 통신사들의  행렬이 이어지면서 구경나온 이들과
조선 통신사의 행렬이 예의와 격식을  내려놓고
서로 덕담을  하며 선물을  주고 받는 모습에서 소중한 만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책의  끝부분에 이  책의 작가가 전하는  말에서
 소중한 만남의 다리를 위험에 빠뜨리는 시대의 파도가 있었지만
만남이  이어지는  다리가 분명히  존재하며  우리들이 건너주기를  바란다는 말을  한다..
이작가의 말에서 난  일본이 과거사를 인정하고 도  이상 불필요한 도발을  하지않는다면
우리나라가 그 소중한 만남을  더 환영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언젠가 조선 통신사들을  보냈던  그 때처럼..소중한  만남의 다리가 이어지는  날이
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