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시콜콜 조선복지실록 - 단 한 명의 백성도 굶어 죽지 않게 하라
박영서 지음 / 들녘 / 2022년 2월
평점 :
조선의 재난지원금?, 조선에서 보이는 국민연금의 미래?
교과서에서는 배울 수 없는 진정한 조선을 알아보자!
언뜻 보면 "조선", "실록"이라는 익숙한 단어에 조선왕조실록인가 싶다가도
자세히 보면 응? 조선복지실록? 조선이... 복지가 있었다고?라는 생각이 든다.

"비단 조선뿐만 아니라 신분제가 진하게 남아있는 왕조 국가에서 복지라는 것 자체가 있을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조선시대에 백성을 사랑하는 대표적인 왕 세종대왕이라면 어떻게든 복지정책을 펼쳤을 것.
감염병 대유행이 지속되는 동안 큰 이슈 중의 하나는 재난지원금이 아닐까 생각한다.
재난지원금 사업이 시행될 당시 주민센터에서 이 사업을 안내하고 신청을 돕는 아르바이트를 했었기에 많은 민원인을 마주쳤다.
까다로운 조건에 신랄하게 정부를 비판했던 많은 민원인들...
과연 조선시대에도 복지정책에 불만을 가졌던 백성들이 있었을까?

"단 한 명의 백성도 굶어 죽지 않게 하라"라는 목표로 복지 정책을 펼쳤지만,
천재지변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과 매뉴얼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을뿐더러,
전쟁으로 인한 기근 및 전염병이 잦았던지라 쉽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비교적 과학의 발전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지금보다
사람에 대한 존중과 사랑을 중요시 여겼던 당시 조선의 복지 정책이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대한민국과 조선을 비교해 보면서 많은 궁금증이 생겼다.
이 책은 다양한 사료를 과감하게 편집하고,
옛날 단어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누구나 사료를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선 시대의 다양한 복지 정책을 제시하고, 현대 사회에서 이 복지 정책이 어떤 것에 해당되는지 비교함으로써
시대 차이로 인해 생기는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생각했던 것보다 조선시대의 복지정책이 굉장히 다양하다는 것이다.
흔히 교과서에서도 배우는 구황, 환곡 등을 비롯하여 유기아를 거두어주는 정조의 자휼전칙,
예로부터 효를 중시하는 민족이었던 만큼 마을의 80세 이상의 노인이라면 신분에 상관없이 모두 초청하여
음식과 의복을 제공하는 양로연 등 이 있다.
심지어 남존여비 사상이 강했던 조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복지 정책까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맞게 복지 정책 또한 굉장히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제한된 정책이라 할지라도 여성을 위한 복지 정책이 있었다는 자체가 놀라웠다.

과연 조선을 복지국가라고 주장하며 이 책을 집필한 저자의 노고를 통해 정말 조선이 복지국가임을 느낄 수 있었다.
정책을 집행하는 수준이나 범위 같은 것들은 당연히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조선시대에도 지금만큼이나 복지정책이 굉장히 많았던 시대였음을 느꼈다.
시대 차이가 커서 비슷하게 정책을 적용시킬 수는 없으나 정책의 적용 여부를 떠나서
어떠한 분야의 정책을 적용했을 때에 어떤 결과가 나왔고,
이를 어떻게 보완했는지는 충분히 참고할 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