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언스 픽션 - 과학은 어떻게 추락하는가
스튜어트 리치 지음, 김종명 옮김 / 더난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과학은 무엇보다 진리에 의한 이론이 중요하다.
과학적이라는 것은 원리에 의한 것으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이 근거로 되어야 하며,
한 번의 실험이 아닌 여러 번의 실험이 따라야 하고
어느 한 조건이 바뀌더라도 동일한 패턴의 결과를 도출해야 과학적 원리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이 항상 이렇게 진리에 의한 것들뿐일까?
나는 과학을 전공하고,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과학 분야의 책을 가장 많이 읽어왔다.
가짜 뉴스에 대한 책 같은 가짜 언론 책은 읽어보았지만 가짜 과학 책은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을뿐더러,
거짓이라는 의심 자체를 해오지도 않았다.

이 책의 제목은 사이언스 픽션이다.
영어 표기를 줄이면 SF로, 흔히 공상 영화를 SF 영화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상상이 들어간 영화인 것이다.
그래서 SF 영화라고 할지라도, 밑도 끝도 없이 다 허구가 아닌,
어느 정도 설득력을 위한 과학적인 이론이 바탕이 된다.

하지만, 세상의 많은 논문들 중에서 우리도 모르게 많은 논문들이 거짓으로 판명 났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너무 수월하게 진행되어서 "무슨 일이지?" 싶다가도
나중에 결과를 도출하고 과정을 보니 어디 한곳이 잘못되어서 수월했다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럼 그렇지..." 하면서 다시 시작으로 돌아가기 마련인데,
이 책에는 "그럼 그렇지..." 라는 생각에 도달하기 전에
너무나 자연스러워 많은 사람들이 믿게 되고 공신력 있는 매체에도 소개될 정도의 거짓 논문들이 소개된다.
정말 단순한 실험인데도 불구하고, 사례가 많지 않아 오랜 기간 사실로 받아들여진 거짓 실험과 거짓 논문,
그리고 대부분 실험과 논문을 집도하는 교수는 실험 과정의 사소한 단계에는 참여하지 않고
조수나 학생에게 맡기기 마련인데,
모든 과정을 직접 발로 뛰며 처음부터 애초에 거짓으로 시작된 실험에 의한 논문 등
과학이 추락하는 사례가 소개된다.

사실에 입각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학 분야에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일까?
당연히 개인의 욕심이 앞섰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길 바라는 욕심,
거짓 논문을 만들어서라도 유명해지고자 하는 욕심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례가 누적되며 누군가에겐 과학은 더 이상 진리가 아닌, 만들어진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
대중성과는 관련 없이 사실을 바탕으로,
올곧은 신념으로 발전해나가야 하는 과학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고자 이렇게 변질되는 것이다.
게다가, 과학적 근거라고 하면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하지 않아도 은연중에 신뢰가 생기기 때문에,
진리가 정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거짓을 사실로 만들기 쉬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연구가 잘못되면 이를 검토하고 고치는 과정에서 또 과학은 발전한다.
대표적인 예로 연금술이 있다.
연금술은 값싼 금속을 비싼 금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인데,
지금에서 생각하면 전혀 말도 안 되고, 실험하고자 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를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실험을 거듭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실험 도구와 시약이 발명되었다.
이런 식으로 과학은 과학에 의해 발전할 수 있다.
사이언스 픽션, 영화가 아닌 실제로 일어난 사이언스 픽션을 읽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발전하는 과학이 아닌, 곧 과학이 될 수 있는 진리이다.
너무나 당연해 간과할 수 있는 것을 다시금 한번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