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 진화의 무기, 친화력 - 협력을 통해 무리에서 사회로 도약한 이야기
윌리엄 폰 히펠 지음, 김정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11월
평점 :
절판

나는 과학을 좋아하는 이공계 출신이기도 하고, 요즘에는 생물학에도 관심이 많아 인류의 진화나 유전에 관련한 책을 찾아보곤 한다. 때마침 한국경제신문에서 <인류 진화의 무기, 친화력>이라는 책을 출판하였고, 구조적이나 유전적인 인류 진화가 아닌, 친화력이라는 부분을 가지고 설명하는 책이기에 흥미가 생겼다. 이 책은 서론만 읽어도 이 책에서 무엇을 설명하려는지 정확하게 풀어내고 있으며, 덕분에 보다 더 흥미를 가지고 읽어나갈 수 있었다.

저자는 심리학 교수를 맡고 있는 윌리엄 폰 히펠이다. 처음에는 인류 진화와 심리학이 무슨 관계가 있지?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으며 곰곰이 생각해 보니, 과학 전공이 아닌 심리학 전공이었기에 친화력이라는 정신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고 인류 진화를 설명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인류가 가장 고등의 생물인 동시에 다른 생물들과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바로 지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성이 있고, 도덕과 규율이 생기고 난관에 부딪히면 협력을 통해 함께 생존하는 방식을 알기에 무리에서 사회로 도약할 수 있었고, 이것의 가장 큰 원동력이 친화력이라고 설명한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뭉칠 땐 누구보다 빠르게 뭉치지 않은가? 이는 다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 아래 없던 친화력도 자동으로 발휘되는 것 같은 느낌이다.
우리의 옛 조상은 외모로 보나 지적 능력으로 보나 침팬지와 아주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인류는 마치 다른 뿌리인 듯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를 침팬지뿐만 아니라 코끼리, 개코원숭이 등 다른 동물들과 비교하며 설명한다. 인류는 신체적으로 다른 동물들에 비해 너무나 나약하여 절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고, 이러한 점 때문에 서로 깊이 의존할 수 있었으며, 의존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까지 생기곤 한다. 다양한 사회적 감정이 누적되면서 발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론의 초반에서는 옛 조상과 다른 동물을 기준으로 인류 진화를 설명했다면 갈수록 시대가 현대로 오면서 동물이 아닌, 다른 민족을 비교하면서, 그리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심리학적으로 인간을 분석한다. 협력과 친화력을 중시한다고는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살아가고 있지 않고, 혼자가 편한 사람도 있다. 이미 인류의 지적 능력과 사회적 감정은 진화할 대로 진화했으며, 이제는 집단주의냐 개인주의냐 하는 측면에서 과거 인류 진화의 결과를 설명한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이 책을 과학 쪽으로 분류해야 할지, 인문학 쪽으로 분류해야 할지 아리송했다. 확실한 것은 아리송하고 애매한 상황도 친화력을 바탕으로 한 인류의 지적 능력과 다양한 사회적 감정 때문에 항상 앞을 향해 나아가려는 현대 인류가 되었을 것이다. 지금 당장을 사는 것이 아닌, 항상 미래를 바라보았기에 인류는 진화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과 같은 인간이 되었는지, 인간의 역사를 알아가기에 아주 좋은 책이며, 한 나라의 역사도 중요하지만 한 번쯤은 인간의 역사도 알아가봄이 어떨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