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롱 사 먹는 데 이유 같은 게 어딨어요? - 90년대생이 말하는 90년대생 이야기
이묵돌 지음 / 메가스터디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소 특이한 제목이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이다. 무언가 에세이 같다는 느낌은 받았으나 어떤 분야의 책인지도 모호하다. 책을 받아보자마자 나는 "그러게요, 먹고 싶으니까 먹는 거지."라고 속으로 대답했다. 이렇게 궁금증을 자아내는 이 책은 90년대생이 말하는 90년대생의 이야기이다. 또한 이미 브런치에 연재작으로 올라와 많은 인기와 공감을 얻은 <90년대에 태어난 게 잘못은 아닌데>가 책으로 출간된 것이다.


 이전에 문재인 대통령께서 90년대생의 이야기를 담은 어느 책을 청와대 전 직원들에게 선물했다는 기사를 보았다. 내가 90년대생이기 때문에 현재 90년대생이 어느 위치에 놓여있길래 대통령님이 이 책을 직원들에게 선물하셨을까? 생각해보았다. 90년대생은 이제 만으로도 30대인, 사회 초년생일 수도 있고 빨리 취직한 사람은 어느 정도 소위 말하는 짬이 생겼을 나이인 90년생부터 이제 만으로도 20대인, 이제 대학교에서는 고학년이고, 남자들은 군대를 다녀와서 제대를 했을 무렵의 99년생까지이다. 60대까지 일하는 요즘 같은 사회에서는 사회생활의 거의 초반에 놓여 있는 90년대생이지만 그러므로 사회의 중심 일원이기도 하다.



 대학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더니 왜 대학을 꼭 나와야 하는 건지, 티끌모아 태산인데도 하나에 2천 원에 육박하는 마카롱을 사 먹으면서도 굳이 이걸 이해시켜야 할 때, 윗세대 사람들을 꼰대라고 칭하지만 결국 우리도 꼰대가 되어가는 이유 등 겪긴 하는데도 도대체 이유가 무엇인지, 뭐라 설명할 수 없는 그러한 것들을 저자는 명쾌하게 써 내려간다. 어릴 때부터 사회에 대한 아름다운 환상과 좋은 이야기만 듣고 컸더니 정작 이 사회는 호락호락하지 않음을 느끼면서, 사회에 일원이 될 준비, 벌써 사회의 일원이 되어 계속되는 피곤한 하루, 저렇게는 되지 말아야지 하지만 결국 그들의 뒤를 따라가게 되는 과정 등 90년대 생이라면 한 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모르는 나의 모습과 내 주변의 모습을 저자가 너무나 공감이 되게 담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