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그림으로 읽는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
나카무라 칸지 지음, 김정아 옮김, 남명관 감수 / 성안당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어린 시절부터 비행기를 타보고 싶고, 이렇게 덩치 큰 물체가 어떻게 저 높은 하늘을 날 수 있는지 한 번쯤은 궁금해봤을 것이다. 나에게 비행기는 어릴 적 마치 로망 같았던, 커서는 해외여행이라는 버킷 리스트를 이루게 해주는 것이다. 탈 때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을 태우고, 많은 짐을 싣고 어떻게 성층권까지 떠오를 수 있는지 항상 궁금했다. 동체나 유체 역학 쪽은 전혀 문외한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했는데, 이 책은 상세한 그림과 쉬운 설명으로 비행기가 나는 원리를 설명해 주고 비행기 부분 구석구석까지 자세하게 설명해 준다.


 이 책의 저자 나카무라 칸지는 우리가 ANA 항공이라고 알고 있는 전일본공수에서 30년 이상 항공기를 조종한 기관사이다. 현재는 이러한 비행 경험으로 비행기의 구조, 성능, 운항 등을 설명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공학, 역학 쪽으로 비행기를 공부한 학자도 당연히 비행기에 관련된 설명을 자세히 해주겠지만, 이뿐만 아니라 직접 비행기를 조종해보았기 때문에 외부뿐만 아니라 비행기 내부의 계기판이라든지, 조종하기 전 준비 사항 등 관련 직종이 아니고서는 웬만하면 보기 힘든 부분까지 그림으로 설명해 준다.



 비행기가 가하거나 받는 힘은 크게 네 가지, 공기에 저항하는 힘인 항력, 날개가 발생하는 비행기의 무게를 지탱하는 힘인 양력, 지구의 중심으로 당기는 힘인 중력, 그리고 엔진이 만들어내고 이로 인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인 추력이 있다. 이 커다란 비행기가 날기 위해서는 각 부위 하나하나의 기능이 중요하며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받기 위한 조종사의 조종력 또한 요구한다. 비행기가 나는 원리는 흔히 알고 있는 '베르누이의 원리'인데, 대충 이 원리가 유체의 속력에 따라, 또는 유체가 통과하는 곳의 넓이에 따라 압력이 크거나 작아지는 법칙 정도로는 알고 있었지만 이 원리가 정확히 비행기에 어떻게 작용되는 것 까지는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또한 비행기를 탈 때마다 날개 부근에 앉으면 커다란 날개의 여러 부위가 들렸다가 내렸다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날개에서도 스포일러, 플랩, 윙릿, 슬랫 등 부위마다 명칭도 다르고 제각기 하는 역할도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 또한 그림과 함께 자세히 알 수 있다.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점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저자가 비행기를 직접 조종해본 조종사인 덕분에 비행기 조종석 내부 계기판이 어떻게 생겼고, 계기판에 표시되는 각 수치들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는 점이었다. 조종사가 되지 않는 이상 거의 접하기 힘들기 때문에 흥미로웠으며 또한 조종사와 관제사가 이·착륙 시 어떤 보고를 주고받는지도 간단하게 나와 있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