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내성적으로 살기로 했다
서이랑 지음 / 푸른영토 / 2020년 1월
평점 :

이 책은 지극히 내성적인 성격으로 태어난 저자가 이러한 내성적인 성격을 바꾸기 위해 많이 괴로워하고 힘들어하다 결국 실패로 돌아간, 실패함으로써 굳이 내성적인 것을 바꾸려고 하기보단 그대로 받아들이기까지의 생각과 과정을 기록한 에세이이다.
내성적이라고 하는 성격은 조금 애매하다. 장점은 아닌 것 같으면서도, 단점이라고까지 하기에는 조금 과한 것 같고... 좋으면서도 나쁜, 나쁘면서도 좋은 성격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와 반대인 활발한, 외향적이라고 하는 성격은 분명히 장점으로 다가온다. 이러한 점은 대인 관계에서 특히 빛을 발한다. 내성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지 못하며, 말수가 적고 얌전한 면이 있는 반면, 외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며 대화도 잘하고 어느 단체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를 선점하게 된다.

저자는 본인의 내성적인 성격이 본 인을 불행하게 만든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생각의 꼬리를 물고 물어 점점 "내성적인 나"의 속에 본인을 가두게 되었다. 나 또한 내성적인 성격이었으며, 이러한 성격을 바꾸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기 때문에 지금은 조금 더 외향적으로 바뀌게 된 듯하다. 나는 저자가 했던 내성적인 것과의 싸움에서 어느 정도 승부를 본 것이다. 사실 내성적인 성격은 아니고 낯을 가리는 것뿐인데도 말이 없고 나서지 않다 보니 내성적인 사람이 되어 있었다. 친해지기까지의 기간이 조금 길뿐, 친해지고 나서는 전혀 내성적이지 않기 때문에 저자의 생각에 일부만 공감할 수 있었다. 오히려 "왜 이렇게까지 내성적인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내성적인 것이 자격지심으로 굳은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들어 이해하기가 조금 힘들었다.
내성적인 것에 대해 공감을 하고 힘을 얻기 위해 읽었다기보다는 내성적인 것과 싸움을 하기 전, 저자만큼은 아니지만 꽤 내성적이었던, 과거의 나를 뒤돌아보고 그때의 나와 같은 친구들이 있다면 그들에게 공감하고 이해해주고 싶기 때문에 읽어보고 싶은 것이 컸다. 저자처럼 내성적인 성격을 바꾸고 싶어 고통스럽고, 바꾸려 노력하며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공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