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온통 화학이야 - 유튜브 스타 과학자의 하루 세상은 온통 시리즈
마이 티 응우옌 킴 지음, 배명자 옮김, 김민경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학자이자 과학 저널리스트인 마이 티 응우옌 킴이 저술한 책으로, 저자는 하버드대학교에서 화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유튜브 채널 <The Secret Life Of Scientists>을 통해 일반인들의 과학에 대한 거리감을 좁히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키워주고 있다. 아버지도 화학자, 오빠도 화학자, 남편도, 가장 친한 친구까지 화학자로 주변이 모두 화학인 환경에서 살고 있는 그녀는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남다르다. 세상을 물질이 아닌 분자 단위로 바라보며, 이를 통해 세상이 모두 화학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얘기한다. 나 역시도 화학과를 졸업했고, 과학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세상이 모두 화학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느끼지만 자세하게 어떤 물질이 어떤 원리로 어떤 화학 반응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지 설명하기는 어렵다. 또한 이를 설명한다 하더라도 비전공자의 언어로 쉽게 풀어서 설명하기란 또 다른 어려움이다.


 저자는 과학자라고 연구실에서 실험만 하고 이론만 익히는 게 아닌, 과학을 일반인들에게 쉬운 언어로 설명하여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갖고, 과학에 대한 지식을 갖길 바란다. 그래서 그런지 책에 실린 화학에 대한 그녀의 설명은 매우 일상적이면서도 유쾌하다. 어려운 용어라고는 다이메틸설파이드, 아이소발레르산 등의 화학 물질뿐이며 그중에도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히드 등 어디선가 들어본 물질도 있기 때문에 간간이 더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쉽고 재미있는 언어로 우리가 매일 보고 사용하는 치약, 프라이팬, 커피, 디저트 등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주기율표라는, 110여 가지의 원소를 성질에 맞게 나열한 표를 통해 각 원소들이 전자를 얻고 잃는 성질 중 어떠한 성질을 갖는지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성질은 원소가 가진 전자껍질에 전자가 몇 개가 채워져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원소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선 상상에만 맡겨야 한다는 점에서 일단 과학에 대한 거리감이 생길 수가 있는데, 저자는 이러한 추상적인 원리를 일러스트와 함께 마치 가시적인 물건의 이동을 설명하듯 매우 쉽게 설명해준다.


 주기율표까지 아니더라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는 세제, 배터리, 그리고 자주 먹는 글루텐 성분, 초콜릿, 적은 양으로 우리의 몸과 정신을 지배하는 옥시토신과 같은 호르몬 등 화학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관심과 흥미만 있다면 충분히 읽을 수 있는 흥미로운 내용들이 가득 담겨 있다. 전공자라고 하더라도 졸업 후 학문에서 손을 뗀지 오래된 나 같은 사람으로서는 다시금 화학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알아가고자 할 때 추천하고 싶으며,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과학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이 꼭 읽었으면 싶고,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