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대를 꿰뚫어 보는 FBI 심리 기술 - FBI가 알려주는 심리 기술 활용법
진성룽 지음, 원녕경 옮김 / 정민미디어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행동을 관찰하면 심리가 보이고 심리를 파악하면 내 편으로 만들 수 있다!"
가끔 대인관계가 하나의 임무처럼 느껴지는 때가 있다. 복잡할 것 없이 편하게 살고 싶지만, 마냥 그럴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이것저것 파악할 것도 많고, 눈치도 있어야 하고... 그러다 보니 나와 관련된 일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나의 의견보다 더 중요시되는 경향도 있다. 그럴 때는 상대방의 심리가 궁금해지고,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보고 싶다는 생각도 종종 들곤 한다.
이 세상의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고, 같은 상황에서도 각자 다른 생각을 하곤 한다. 언뜻 보기에는 굉장히 파악하기 힘들고, 복잡하고, 경우의 수도 엄청 많아 보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본능적인 반응은 대체적으로 일관적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를 FBI에서는 범인을 수사할 때 일정한 규칙으로 정해놓고 활용한다고 한다.
이 책은 나비 효과, 죄수의 딜레마, 게임의 원리 등 흥미로운, 일정한 인간의 성향을 가지고 다양한 사건과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적용이 되며, 이럴 때 어떠한 규칙이 쓰였는지 풀어내고 있다. 초범은 물론이고 상당히 지능적인 범인조차 결국 FBI의 심리 기술에 다 걸려들고 만다.

걸음걸이와 취재하는 상황에서의 발, 대화하면서 미묘하게 움직이는 코, 무의식적으로 조절되는 동공 등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면 그 사람의 마음이 보인다고 한다. 새로운 일에 앞서 사람의 걸음걸이는 평소와 달라지고, 아무리 입으로 거짓을 말한다고 하더라도 발은 진실을 보여준다고 한다. 이 책에도 나오듯이 발이라는 신체 기관은 두뇌로부터 가장 먼 기관이라 심리의 영향을 가장 덜 받을 것 같기도 하지만 오히려 발이 가장 정직하다고 하니 아이러니하면서 참 신기했다. 그리고 코와 코 주변의 신경들은 굉장히 민감해서 다양한 상황에 따라서 나도 모르게 콧구멍이 커지거나 찡그려지거나 한다고 하니 이러한 것들을 잘 관찰하게 되면 심리 파악이 되는 것이다. 동공 역시 내가 키우겠다고 커지는 것도, 줄이겠다고 작아지는 것도 아닌 기관이기 때문에 이러한 신체 기관을 통해서 상대방의 심리를 알아낼 수가 있고, 이외에 악수, 웃음 등 하루에도 몇 번이나 발생하는 흔한 것들을 통해서도 심리가 파악될 수가 있다고 한다.
행동뿐만 아니라 말이나 존중하는 태도, 부드러운 말투 등을 통해서도 심리 파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범인을 심문할 때는 무작정 증언을 얻어내려고 하기보다는 이름을 불러주는 것, 에둘러 말해 호감을 얻는 것, 정말 단순하게도 같은 말을 통해서 상대방을 질리게 만드는 것 등 FBI에서 쓰이는 심리 기술은 생각보다 거창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묘한 변화인 만큼 예리한 감각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FBI에서 용의자를 심문하는 이러한 심리 기술을 대인관계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면 상대를 내 편으로 만들 수 있고, 상대의 거짓을 가려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인관계가 술술 풀릴 수 있다는 점을 실생활에 적용한다면 더 나은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