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핵에서 핵무기까지 - 괴짜 물리학자의 재미있는 핵물리학 강의
다다 쇼 지음, 이지호 옮김, 정완상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원자핵에서 핵무기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핵이 거대한 폭발과 피해를 일으키는 핵무기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강의 형식으로 풀어낸 책이다. 말 그대로 강의 형식의 문체라서 마치 저자가 직접 들려주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이 덕분에 술술 읽혔다. 나의 최대 관심 분야가 과학이기도 하고, 미시적인, 너무나도 작은 원자핵 속 양성자와 중성자를 건드림으로써 엄청난 거시적인 폭발을 일으키는 이 핵물리학의 메커니즘이 굉장히 흥미로웠고 신기하게 느껴졌기 때문에 빨리 읽을 수 있었다. 게다가 얼마 전에 '체르노빌'이라는 미드를 보고 난 후여서 그런지 그 메커니즘을 더 자세히 알고 싶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뿐만 아니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도 궁금했다.


 이 책은 핵물리학의 정의나 아주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다기보다는, 핵물리학을 빌려서 특히 무기 영역, 즉 핵폭탄 같은 핵무기를 주로 다룬 책이다. 학문 자체는 정말 어려운 학문이지만 이를 간단한 그림과 쉬운 설명으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에 책 소개처럼 중학교 고학년생까지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원자의 구조를 중학생 때부터 배우고 있고, 중학생 과정 정도로만 설명하고 더 복잡한 설명은 나와있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교과 과정에 나와있지 않은 단어들도 등장하긴 하지만 그에 대한 설명도 이어지기 때문에 흥미만 있다면 충분히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핵심으로 설명할 핵무기 설명에 앞서, 원초적인 재료인 원자핵을 시작으로 원자력 발전소나 핵무기의 기동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핵분열과 핵융합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말 그대로 핵이 분열되고 핵이 융합되면서 반응 전후 질량 차와 에너지의 관계에 따라서 가동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핵분열의 연쇄 반응을 통해서 원자력 발전소가 되기도 하고 핵무기가 되기도 한다. 궁극적인 메커니즘은 비슷하지만 이게 적절한 수치로 지속되면 원자력 발전이 되며, 제어해주는 요소가 없이 한꺼번에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핵무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핵무기를 만드는 데에 쓰이는 연료는 무엇이며,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리고 완성된 핵무기는 어떠한 종류가 있고, 실제로 어디에 쓰였으며, 만약 이 핵무기가 적절한 시점에 터지지 않았다면? 등 여러 설명과 가정을 통해서 핵무기에 대한 메커니즘을 흥미롭게 풀어냈기 때문에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