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 없는 출산 - 현대 자연주의 출산의 바이블
그랜틀리 딕리드 지음, 정환욱 옮김 / 자연스러운탄생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영국의 산과의사 그랜틀리 딕리드가 당시 병원의 분만 방식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자연주의 출산을 정립한 책이다. 산과학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많은 사람들이 임신과 출산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와 많은 산모들이 여전히 출산에 대한 큰 두려움이 앞서 힘든 출산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그러면서 저자가 가장 큰 문제로 거론하고 있는 것은 출산의 고통에 의한 산모의 두려움을 안정시키려는 것보다 고통을 감내하라는 억압과 의사와 간호사의 일방적인 요구에 의해서 출산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출산의 경험도 없고, 산과에서 근무하고 있지도 않기 때문에 자세히는 모르지만, 주변의 산모의 이야기나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경험담을 읽어 보면, 저자가 거론하고 있는 문제가 갈수록 더 커지고 있다는 것을 대충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모나 의사나 출산이라는 긴박한 상황에 직면하면, 제일 우선 아기가 건강하게 나오길 바라는 마음과 산모의 고통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그래서 산모의 심리적 안정보다는 무통 주사 등과 같은 의학적 조치를 먼저 시행하는 이러한 실태가 사실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산모뿐만 아니라 사람의 몸은 어떤 상황이든 두려움을 갖게 되면 의지와는 달리 독립적으로 작용되는 교감 신경이 발동되면서 소화가 억제되고 방광도 수축되며 심장이 두근거리면서 점점 심리적 안정 상태와 멀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조치가 일반적으로 시행되긴 하지만, 저자는 출산의 두려움을 없애는 방법을 즉각적인 조치보다는 근본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런 근본적인 과정이 잘 행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순산을 위해서는 산모의 두려움을 없애주어야 하며, 이로 인해 심리적인 안정이 취해지면 산모의 자궁의 수축과 이완을 담당하는 자궁 내 섬유층과 혈관이 자유로운 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출산이라는 것은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최고의 축복인 동시에 한편으로는 최고의 고통 중의 하나일 것이다. 나는 아직 출산의 경험은 없지만, 그 작은 자궁이 몇 배나 확장된다는 것과 그 작은 질 입구에서 아기가 나온다는 것만 생각해도 얼마나 큰 고통일지 상상하기도 힘들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자연주의 출산이 출산에 직면한 산모들에게 과연 얼마나 와닿을지 솔직히 잘 모르겠다. 이미 출산이라는 것이 많은 두려움, 책임, 고통이 따른다는 의식이 크게 박혀있기 때문이다. 무통 주사가 태아한테 좋지 않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산모가 너무 힘들다면 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의 말 중에서 출산 상황이 산모 위주로 돌아가야 하며, 의사와 간호사의 일방적이 요구에 따라 진행되는 것은 꼭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