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ㅣ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이 책은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 2번째 책으로, 대중문화를 통해 들여다보는 과학에 대한 내용들이 담긴 책이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인 홍성욱 교수가 쓴 책이다. 생명과학부 교수이지만 물리학과를 졸업했으며,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과학과 인문학, 과학과 예술 등의 접점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자로, 과학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영화와 소설을 통해서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사실 대중문화라는 것도 학문적으로 접근하면 쉬운 주제는 아니다. 그러나 이를 영화, 가요, 소설 등으로 접근하게 되면 아주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으며 우리가 항상 대중문화 곁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역시도 대중문화를 자주 즐기며, 특히 SF 장르의 영화를 굉장히 좋아한다. 이러한 영화들은 장르 자체가 허구적인 것을 소재로 하는 영화이지만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학과 기술을 보니 마냥 허황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래서 이렇게 대중문화에서 비치는 과학은 얼마큼 현실 가능하고 어떠한 원리가 쓰였는지, 혹은 이를 실행에 옮긴 사례가 있는지 등이 궁금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것들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미래지향적인 것뿐만 아니라 과거의 어떤 이론이 토대가 되어서 발전했는지도 함께 나오니 이런 식으로 발전했구나,라든지 이런 작품이 있었구나라든지 하는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프랑켄슈타인,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블레이드 러너 등의 작품들을 과학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설명하는 동시에 이런 것들이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이 실려 있다. 객관적인 내용들로, 이를 읽고 나의 생각은 어떠한지, 이러한 과학적인 것들에 대해 우호적인지 아닌지를 생각하면서 읽을 수 있는 흥미진진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