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암리를 아십니까 책읽는 가족 53
장경선 지음, 류충렬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마사코의 질문>과 짝이 될만한 책입니다. 일제 시대 우리 민족의 고통, 독립하려는 의지가 잘 드러나 있는 책입니다. 이 이야기는 두 아이가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발안 지역 일본인 대표인 사사까의 아들 나카무라와 제암리에 사는 연화입니다.

아버지의 잔인한 모습, 고통받는 조선인들의 모습을 보며 나카무라는 괴로워하지요. 나카무라를 통해 고해성사를 받고 있는 느낌이 드는 책입니다.  처음에는 조선인들이 일본에게 나라를 맡긴 줄 알았던 나카무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는 아버지의 행동에 대한 거부감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동학군이었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연화는 고통받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착하고 어른스러운 연화가 대견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연화가 우리 민족의 품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이 책에는 장치가 많습니다. 눈에 드러나게 강요하고 있지는 않지만 책을 읽다보면 느껴집니다.

일단 마쓰이의 존재가 그렇구요, 순이가 그렇습니다. 일본 사람 앞잡이 노릇을 하는 아버지들때문에 마음의 상처를 입고 고통받는 아이들이지요. 그러나 이 아이들은 아버지가 준 경제적인 혜택인 고마워하지 않고 남들에게 미안하다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양심이지요.

어린 순이가 동네 아이들에게 먹을 것을 나눠주는 모습만 봐도 그렇습니다.

또한 외국인 선교사가 하는 말입니다. 외국인 선교사는 처음에는 일본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지만 제암리 사건이 일어나게 되면서 일본의 잔인함, 속마음을 알게 됩니다. 선교사를 통해서도 일본이 얼마나 이중적인 모습이었나를 느낄 수 있지요.

또 하나 가장 중요한 장치는 닭싸움입니다. 상대 닭을 죽이는게 목적이 아니기에 우리 민족은 닭의 엄발을 감싸버리고 닭싸움을 하지만 무조건 이기고 상대방을 죽일 때까지 공격하는 사사끼의 닭은 그렇지 않습니다. 거기서부터 민족성의 차이가 드러납니다.

참,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습니다. 연화네 닭 바우와 사사끼의 닭이 대결을 하는데 덩치만 큰 사사끼의 닭이 싸움에 지자 사사끼가 닭모가지를 자르는 장면이 나옵니다. 저는 이 장면을 읽으면서 바우가 죽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바우가 죽었으니 할아버지와 연화가 슬퍼하겠다는 생각을 했지요. 그러나 제 생각은 틀렸습니다. 사사끼는 자기 닭의 목을 쳤습니다.  자기에게 이롭지 않다고 실망시켰다고 자기 닭의 목을 쳐버리는 냉혹한 사사끼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나카무라는 자라면서 사사끼때문에 많은 마음의 고통을 겪었을 것 같아요.

이 책의 뒷부분에 보시면 신형건 선생님의 글이 실려 있습니다. 글쓴이 장경선 선생님의 글이 아니라 신형건 선생님의 글이요. 그 글을 읽어보시면 <마사코의 질문>에 제암리 사건을 싣지 않은 이유가 나온답니다. 저도 <마사코의 질문>을 읽으며 제암리 사건이 안 들어있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신형건 선생님에게 제암리 사건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읽어보셨으면 좋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