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원한 달빛 신사임당
안영 지음 / 동이(위즈앤비즈)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가장 좋아하는, 본받고 싶은 그런 위인 중 한 분이 바로 신사임당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신사임당에 대해서 알고 있는 건, 오죽헌에서 태어나신 것과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신 것과 치마폭에 포도넝쿨을 그린 것 밖에 아는 것이 없다. 그래서 신사임당에 대해 더 알고싶기도 하고 궁금했었는데, 마침 이 책을 읽을 기회가 내게 찾아왔다.

<그 영원한 달빛 신사임당> 제목도 멋있는 만큼 행복함에 기대하면서 책을 폈다. 각 장 맨 앞은 흑백이지만 제목만큼 멋있고 아름다운 그림… 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 그림… 을 볼 때마다 각 장이 궁금했다.

이 책은 신사임당의 어렸을 적인, 인선에서부터 시작한다. 어렸을 때의 인선은 그 당시, 남자들만이 할 수 있었던 공부를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께서 인선의 어머니밖에 못 낳으셔서 가르칠 남자아이가 없어 어머니를 가르치시고 여자들도 공부를 해야한다며 언니 인덕과 함께 외할아버지에게로 부터 배웠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부를 하기 싫어도 해야만하고, 조선시대와 같이 남자들은 공부를 할 수 있고 여자들은 집안 살림이나 수 놓는 것 등만 해야 한다면 남녀차별이라고 했을 것 이다.

인선은 어렸을 때부터, 공부와 그림 등에 소질이 있었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공부와 그림을 좋아했고 게을리 하지 않고 열심히했다. 아마 신사임당은 소질보다는 어렸을 때부터 그랬던 것이 그 후의 신사임당을 만들었을 것이고, 지금까지 그 이름을 떨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런 신사임당의 모습과 반대되는 나는 이런 모습을 정말 본받고 싶다. 그리고 인선은 이런 모습을 보이면서 그 집안의 아들 몫을 해내었고, 인선이 사는 곳에는 외가 친척이 많이 모여 살았었는데 친척들에게도 인정을 받았었다.

더 커가면서도 아들 몫을 해내면서 혼인을 할 때도 되었다. 혼인을 할 나이임에도 자신보다는 고향에 계실 어머니 생각을 더 했다. 그리고 혼인 후에 곧바로 시댁에 가지않고 어머니를 위해 얼마 동안 고향에서 살고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도 아들 몫을 하면서 어머니를 위로해드리고 시댁에 가기 전까지 자신의 시간도 갖는 신사임당을 보면 저런 모습을 본받아야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시댁에 가서도 신사임당은 예를 지키며 어머니를 모시고 자식을 낳아서도 신사임당은 자신보다 가족을 더 아꼈다. 자식을 낳아 기르면서 자녀에게 성현의 말씀을 늘 들려주었고 어렸을 때 외할아버지께 배웠던 데로 자식들에게 가르쳤다. 

신사임당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아낸 이 책은 신사임당을 다시한번 알 수 있게 해주고, 신사임당의 어머니로서의 지혜를 배울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정말 모범적인 어머니이자 아내라는 점에서 조금은 의심스러운 점도 있지만, 그래도 배울점이 많은 책이다.
그리고 헌신적이고 지혜로운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해낸 신사임당. 이 책의 표지에 써있는 '이 시대에 더욱 그리운 어머니, 사임당!'이 틀린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대에 더욱 그리운 어머니, 사임당!' (하지만 그립지는 않다. 나도 엄마가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