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베스트셀러를 부러 피하는 편이다. 한참 나중에, 광고와 화제가 희미하게 스러졌을 때, 그제야 믿을만한 책으로 판명된 그 책을 골라 읽는다. 행복의 기원역시 그렇게 내게 온 책. 행복론을 이야기하는 사회학 책인 줄 알았는데 펼쳐보고 나서야 기원이란 단어가 어디서 왔는지를 확인했다. 다윈의 진화론 종의 기원에서 온 용어였다. , 이 책은 행복의 진화론적 해석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행복 역시 진화의 산물일 뿐이라며 행복을 원초적이고 동물적이고 육체적으로 연구한 글의 모음이다, 그것도 유연하게 읽기 쉬운. 아아, 이게 또 중요한 포인트다. 술술 읽힌다는 것.

 

내면의 평화를 이루자는 세네카의 행복론, 윤리를 이루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주워들은 내게 진화론적 행복론은 충격 그 자체였다. 인간을 동물로 간주하여 행복을 과학적으로 수치화해 분석한 것. 무엇보다 행복은 생존을 위한 중요한 쓰임이고, 그를 위한 도구일 뿐이라는 것이 충격 그 자체였다. 가장 원초적인 생존에 대해 나는 너무나 간과하고 살아온 인간이기 때문이다.

 

행복은 쾌를 느끼는 것이다. 이 쾌는 몸과 마음에서 아주 사소한 구체적인 경험이다. 이 쾌의 빈도가 잦을수록 행복은 유지된다, 이는 행복이 극대화된다는 표현에 맞닿는다. 모든 자극은 곧 무감해지기 마련이기에, 행복의 빈도를 높이는 것만이 행복을 유지하는 유일한 길이다. 그럼 가장 원초적인 사소한 쾌는 무엇인가, 저자는 이 이야기를 하려고 행복의 기원한 권을 썼는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사람을 자주 만나서, 맛있는 것을 먹고, 술 한 잔을 곁들이고 눈치볼 필요없이 즐겁게 대화하고, 열정적인 섹스를 나누고, 푹 자고 일어나라는 것. 어쩌면 뇌과학자 김대식이 강조하고 또 강조하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핵심과 똑같은가.

 

슬프기 그지없다. 이 중 그 어느 것도 하지 못하는 나는, 정말이지 행복해지기 어렵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기에. 사랑하는 사람도 없고, 맛있는 음식에 관심도 없고, 술맛도 모르고, 어떤 말을 하면 안 될지 조심하지 않아도 되는 대화 상대도 없고, 열정적인 섹스는 개뿔, 매일매일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나는, 대체 어떻게 뭘 해야 할까. 번식과 유전적 기질(외향성)이 중요한 진화론적인 행복 역시도 내게는 너무 멀다.

 

빼박캔트, 이번 생은 벌써 절반 망했다. 앞으로의 절반 생에 기적은 찾아올까? 내게 행복은 진화론적으로도 신비의 영역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걸리걸친 2019-04-23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가 재밌네요. 책을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왜 이렇게 행복하기가 어려운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