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폭력 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주디스 버틀러 지음, 양효실 옮김 / 인간사랑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윤리적 책임/폭력이 체화되는 과정을 심리학적으로 따라가보는 과정


인용구 중 번역을 약간 달리 해보고 싶은 부분은:


> 심지어 1) 방임되거나 2) 학대당한 경우에, 3) 결핍4) 상처가 어떤 식으로는 우리를 환대/승인해주기까지 하므로, 우리는...
 
1) 방임(버림받음)의 결과 -> 3) 상실(감)/결여/결핍
2) 학대의 결과 -> 4) 상처

void - dependency(의존)으로 확장
injury - impression(감수성/민감성)으로 확장




- 의존과 감수성이 윤리적 의식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

- 폭력의 방향이 단순하게 분석될 수 없는 이유


* 형성이 낙인이 되는 예: "쟤는 저런 애" "불쌍한 사람"

누군가 나에게 말을 걸고 이런 말걸기가 나의 개체화에 앞서 나에게 온다면, 도대체 그것은 어떤 형식을 통해서 나에게 오는 것일까? 심지어 버림받거나 학대받는 경우에도, 틈(void)과 상해(injury)가 특수한 방식으로 우리를 맞이하기에(hail), 우리는 이런저런 방식으로 항상 메시지를 전달받는 것 같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