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애도하지 않는다 - 아버지의 죽음이 남긴 것들
사과집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죽음에 대해 종종 생각한다. 죽음은 늘 삶에 가까이 있다고 생각하며 죽음에 관련된 책도 많이 읽고 다큐멘터리도 많이 본다. 삶을 사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삶의 마무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과집의 <딸은 애도하지 않는다>는 아버지의 죽음 앞에 작가의 방식대로 애도하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사과집은 딸 둘인 집의 장녀이다. 그리고 그는 딸이라는 이유로 상주가 될 수 없었다. 나도 딸 둘인 집의 장녀로서 그가 상주가 되지 못했다는 사실에 화가 치밀었다. 왜 상주는 남자만 될 수 있는 걸까? 이러한 장례식 문화는 바뀌어야 한다. 


"엄마와 나, 여동생은 검은 한복을, 삼촌과 사촌 오빠는 양복을 입었다. 상주 완장은 사촌 오빠가 찼다.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 하는 사촌 오빠가 나 대신 내 아빠의 상주가 된 것이다. 온갖 결정은 내가 내렸지만, 아빠를 보내는 예식은 다른 사람의 몫이었다. 장례식장에서는 평생 같이 산 직계존속보다도 남자를 선호한다는 사실도 그제야 알게 됐다." P.21



바뀌어야 할 장례 문화도 많다고 생각한다. 점점 1인 가구가 늘고 있다. 장례를 치러줄 자녀가 없는 사람들의 장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족이 아닌 이들에게 "장례"를 맡기는 건 세상을 떠나는 이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드는 또 하나의 고민거리가 될 수 있다. 


<장례식>을 생각해보니 미국의 장례식이 생각난다. 침울한 분위기보다는 밝은 분위기가 인상 깊었다. 살아생전 고인이 즐겨먹었던 음식을 함께 나누며, 그에 대한 추억과 미담을 나누는 자리. 너도 나도 고인을 정말 사랑했다며 때론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고 그런 서로를 바라보며 웃기도 하면서 보낸 그 시간은 지금도 내 마음속 깊이 남아있다. 


이 책을 읽고 나의 마지막을 감히 그려본다. 나는 내 장례식에 오는 사람들이 슬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오히려 나를 기억해주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흥이 많은 나를 기리는 시간이니 파티 같은 분위기면 더더욱 좋을 것 같다. 내가 좋아하던 음악을 틀고 내가 얼마나 좋은 사람이었는지에 대해서만 기억해주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못다 한 이야기는 천국에서 하면 되니까. 


-

이 책은 <죽음>이라는 단어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분들께 추천드리고 싶다. 아버지를 잃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쓴 글 모음집이라 죽음과 애도의 raw 한 면을 볼 수 있다. 책을 덮고 난 후엔 죽음은 늘 우리 곁에 있고 애도는 각자의 방식대로 하면 되는 것임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