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 개정증보판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개념은 언제부터 비롯된 것일까. 시계에 따라 시간을 측정하고 인지하고 측정하는 것은 인간이 태초부터 해온 행위일까. 근대의 인간은 과연 자율적으로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관리 및 통제할 수 있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진보란 개념의 기저에 깔려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이진경 교수님의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은 가깝게는 근대부터 멀게는 고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시간과 공간적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역사를 탐구하고 그에 따른 영향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인류사 이래로 인간이 시계를 보며 공통된 시각을 인지하며 산 것은 꽤 최근에서야 가능한 일이었다. 근대 이전 농업 사회의 인간은 해가 뜨고 지는 자연의 순환에 맞춘 생체 리듬에 따라 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규율적 삶을 살아야 하는 종교적 삶에 따라, 기차 시간표로 대표되는 시장의 상업적 삶에 따라, 학교와 공장의 시간표에 맞춘 근대적 삶에 따라 인간은 점차 외부의 힘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재단 가능한 인위적 시간에 맞추어 살 필요가 생겼고, 이는 자본주의의 발달과 함께 인간 정신에 내재화되게 된다.

 

투시법의 발견은 비단 회화 양식의 발전뿐만 아니라 근대인들의 생활양식 및 지각 양식에까지 영향을 끼친다. 소실점을 중심으로 수렴되는 구도의 투시법적 기법은 2차원 평면 속에 3차원을 구현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기법이었다. 더불어 그 소실점의 위치에는 화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상이 위치하게 마련이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는 소실점=투시점, 곧 화가의 시선의 위치로 변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선' 은 곧 권력이 되고, 그 시선 권력은 근대 이후 기계화되어 카메라의 모습으로 우리 앞에 나타나게 된다.

 

기계란 무엇인가. 들뢰즈와 가타리에 따르면 "기계란 다른 어떤 요소와 결합하여 어떤 질료적 흐름을 절단하고 채취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것을 기계" 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본 책은 구체적인 공간들을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이나 실천의 흐름을 절단하고 채취하는 기계" 로 일컫는다. 이제 사람들은 각각의 공간에 들어가게 되면, '공간에 맞는' 행동을 하고 삶을 살고 사고를 하게 된다. 공장이라는 공간에서는 노동자에 걸맞은 행동을, 학교에서는 학생에 걸맞은 행동을 하게 되고, 각각의 공간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인간들 (예컨대 교사) 공간의 지배를 받는 인간들, (예컨대 학생) 을 구분하게 된다. 이 책에 따르면, 전자는 '공간적 신체' 이고 후자는 '공간 내 신체' 로 일컫어진다. 이 공간-기계로 말미암은 행동과 생활의 규제는 개별 인간이 존재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선험적 기계로서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간의 사고와 인지, 지각에 영향을 끼친다.

 

근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학교 및 공장과 가정이 공간적으로 명확히 구분되게 되고, 가정은 더욱더 사적인 영역으로 정의된다. 자본주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공장은 시간표 도입을 통해 노동자의 시간을 초 단위로까지 통제하게 되고, '임금=시간' 이라는 논리에 따라, 주어진 임금 이상의 시간적 효율을 뽑아 먹기 위해 공장이라는 공간 내에서의 대량적 분업 체계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규율에 반기를 들지 않는 자본주의적 시간-공간 체제에 순응한 인간들이 필요해졌고, 학교는 이러한 인간들을 길러내는 예행연습적 공간이 된다.

 

근대과학혁명은 (자연) 과학의 수학화를 이루었고, 모든 것을 측정 가능하게 만들고자 하는 인간의 집념은 <모든 것의 통제 가능화> 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학교와 공장은 노동자를 통제 가능한 존재로 만들고자 했고, 불가해한 미지의 존재였던 자연은 정복 대상이 되어 왔다. 인류는 시간에 의해 '누적' 되어 가는 발전은 인류를 '진보' 로 이끌 거라는 신화에 매료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생각은 정복의 대상뿐 아니라 그 주체인 인간 또한 파멸시킬 것이 분명하다. 정상성 경계의 구분은 대립되는 비정상성과 경계 밖 타자를 만들어낸다. 이에 따라, 본 책은 인류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의 수준에서의 평등 개념에서 더 나아가 호혜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이타심을 통해 인간을 넘어선 공존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듯하다.

 

인간은 근대적 시·공간을 주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가? 책에 따르면 인간이 시·공간을 통제하는 게 아니라, 인간이 시·공간에 통제를 당한다. 한 달 꼬박 걸려 읽어낸 책인데, 사실 4월 초에 개인적인 성과주의에 관한 현타가 있기도 했고, 읽으면서 <피로사회> 와 <심리정치> 의 내용이 겹쳐져 우울해졌다.

 

 

 

INSTAGRAM @hppvlt

https://www.instagram.com/hppv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