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정글만리 1~3 세트 - 전3권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3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이번에 읽은 책은 조정래씨의 신작 장편소설 정글만리다.  3편짜리 소설인데 그만큼 가치가 있기에 한편 한 편 감상문을 남겨야겠다

중국 상하이를 배경으로하는 이 책은 동시대 각계각층에서 일어나는 다른 주인공의 이야기를 눈에 보일듯 선명하게 묘사하고 있다. 나는 상하이에서 1년 간 생활하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경험했기에 책 속의 내용이 너무나 익숙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책 읽기를 시작하자마자 빛의 속도로 재미있게 볼 수 있었던것 같다. 마치 내가 상하이에서 만났던 사람들의 삶의 이면을 속속들이 훔쳐본 기분이랄까역시 조정래 작가다!라는 감탄이 절로 나오게 만드는 그 현장 묘사란 영화를 보는 듯한 경이로운 수준이다. (특히 캠퍼스에서 사랑을 나누는 모습은 더욱 그러하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단면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 절대 과장되거나 픽션이 가미되지 않은 것 같은 현실을 생생하게 전달한듯한 사실묘사에 연신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던것 같다.

 

한국 대기업 종합상사의 과장, 베이징대를 다니는 조카, 시골에서 올라온 농민공, 88빌딩의 회장, 일본 상사의 이토상 등 다양한 등장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들의 공통된 메세지는 '중국'이다. G2로 급성장한 현재의 중국을 이해하고 싶다면, G1의 자리를 서슴없이 노리고 있는 중국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다음은 정글만리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통해 중국의 이면을 제대로 보여주는 글귀를 정리했다.  

1. '런타이뚜어(사람의 너무 많다, 나를 제외하고 3억은 없어졌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속에 숨겨진 무서운 심리

2. 연인에게 우산을 선물하면 안되는 이유(우산의 傘 산자와 헤어진다는 뜻의 散 산자 발음을 똑같은 탓이다)

3. 비즈니스에 있어서 꽌시와 상사맨의 중국인 접대 방법

4. 중국여자들의 정조관념

5. 미엔쯔(체면)을 중시하는 중국인

6. 비즈니스에 있어서 라오펑유의 뜻 (펑유는 으레하는 말이지만 라오펑유는  상담할 뜻이 있다는 확실한 의사표시다.)

7. 1800년간 세계 1위를 유지했던 중국의 자부심 

 

이 책을 읽을 당시 중국을 이미 경험한 동기에게 얼마나 격한 공감을 이끌었을지 리뷰를 읽는 동안 눈에 선해 웃음이 절로 나왔습니다소설책은 '재미' '교훈'을 주지만 그만큼 쉽게 잊혀지기 마련이죠.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확장하다보면 그 책에 대한 기억도 오래 남는다고 하니, 한번 활용해보세요.

 

1. 중국은 무서운 나라다.

중국에서 절대 입에 올려서는 안 되는 금기 3가지는 첫째, 마오쩌둥에 대한 험담, 둘째 공산당에 대한 비판, 셋째 대만 독립에 대한 지지라고 합니다. 1당 독재체제에서 수많은 정치적인 사회적인 문젯거리들은 입에 올린다면 어떻게서든 공안의 귀에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거듭 나옵니다.

 

2. 중국에는 두개의 신(), 돈과 마오주석.

현재 중국인들은 돈에 맹목적으로 매달리고 있다고 합니다. 자본주의를 급속하게 받아들인 사회들의 두드러진 특징이겠죠. 중국인들이 만만디라고 하지만 돈앞에선 절대 아닙니다. 중국인들이 신으로 모시는 마오주석은 5천년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로 통일을 했고 역사상 최초로 토지개혁을 실시해 농민의 85퍼센트를 차지하는 소작인들에게 토지를 무상으로 배분하여 생존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리고 신분제도를 혁파하여 평등사회를 이룩했던 것으로 프랑스대혁명과 같은 위대한 혁명을 일으킨 위대하고 아버지와 같은 지도자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비난해서는 안됩니다.

 

 

 

 

 

여기까지만 내용을 노출할게요. 나머지는 꼭 이 책을 읽어보셨음 하는 바람에서.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내린 결론은 뭐냐구요? 정글만리를 읽고나서 7인이 자신의 삶에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모티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혹자는 중국어를 공부해야겠다고 하기도 하고, 혹자는 애국심이 더 강해지기도 하구요. 저의 결론으로 리뷰를 마무리 하겠습니다. 첫째, '메이드인 차이나'라는 선입관으로 G2까지 성장한 이웃나라 중국의 발전을 결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둘째, 역사 교육을 등한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교육 체제를 비판하고 역사 공부를 의식적으로 해야합니다. 셋째,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빠르게 변하는 국제정세에 민감하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 꼭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