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가족
공선옥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선옥의 [유랑가족]은 농촌 마을과 서울 변두리를 배경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유랑가족]에는 '겨울의 정취', '가리봉 연가', '그들의 웃음소리', '남쪽 바다, 푸른 나라', '먼 바다'의 다섯 편이 묶여 있다. 각 편의 이야기가 연결이 되고 등장인물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연작소설의 형식이다. 가난한 사람들의 고단하고 끔찍스러운 삶, 거기서 벗어나려는 악다구니와 몸부림을 그리고 있기에 이 소설의 모든 인물들이 욕망하는 것은 ''이다. ''은 유랑하는 가족이 모여살 수 있게 하는 어떤 것이기도 하다.


먼저 '먼 바다'의 등장인물들을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 개념에 대입하여 살펴보았다. 전라도 금진에 사는 영녀는 박종만과 결혼하기 전에 희다방 '미스 조'로 통했다. 박종만이 사는 마을이 곧 수몰될 예정이어서 보상금이 나왔고, 그 보상금은 영녀가 읍내 다방에 진 빚을 갚는 데 쓰였다. 영녀가 종만과 결혼까지 한 것은 고마움이기보다는 남은 보상금으로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여자"가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은 보상금은 농협 빚을 갚느라 사라졌다. 영녀는 술만 마시는 남편, 자신을 구박하는 시어머니, 그리고 좀체 말을 듣지 않는 동생뻘의 의붓아들 기찬에게서 탈출하고 싶다. 이런 상황에서 종만은 노덕필의 하우스를 빌려 국화 모종을 심기로 한다. 시설 작물에 대한 보상금을 노리고, 일이 잘 되면 자신과 덕필이 73으로 보상금을 나누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덕필은 종만의 아내 영녀에게 관심이 있고, 돈이 나오면 영녀와 도망을 할 생각이다.


박종만이 갖고 싶어 하는 것은 영녀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돈이다. 그 돈은 덕필을 잘 구슬려야 자신의 것이 될 수가 있다. 하우스를 임대해 주겠다는 덕필의 허락이 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조영녀가 욕망하는 것은 재밌는 삶을 살게 해줄 돈이다. 그녀에게 있어서 돈 없는 세상은 재미 없는 삶을 허락할 뿐이다. 처음에 그 중개자는 종만이었지만, 보상금을 빚 갚느라 날려버린 그는 더 이상 효용이 없다. 그녀에게 욕망의 중개자는 노덕필이 된다. 덕필도 돈이 있어야 자신이 욕망하는 대상인 영녀를 데리고 올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종만과 달리, 매개나 중개자 없이 보상금을 모을 수가 있다. 종만의 국화 모종을 통해 나올지 말지 모르는 보상금은 그에게는 있으면 좋고 없어도 괜찮은 것이다.


박종만의 욕망은 조영녀의 욕망보다 비극적이다. 중개자인 노덕필과 경쟁관계에 놓인 내면적 간접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종만은 덕필과의 경쟁관계에서 실패했다. 덕필과 영녀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고, 덕필이 자신의 여자와 보상금을 가로챌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덕필에게 따지기보다는 아들과 어머니를 단속하여 영녀의 마음을 붙잡으려는 소극적 행동을 취할 뿐이다.


이 외에도 [유랑가족]의 각 단편에는 영녀처럼 도망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많다. 이야기의 중심 무대인 '신리'에서 달곤의 처이자 미정이 엄마였던 서용자도 그렇다. 서용자에게 서울로 가자고 한 '명화'는 중국 해림의 남편 용철에게서, 한국 신리의 남편 기석에게서 두 번 도망쳤다. 부대동에 사는 인숙도 종수 아빠를 피해 아들을 두고 나왔다. 이들에게는 사랑하는 남자와의 삶, 또는 자식과 함께 사는 삶이 욕망하는 대상이다. 그러한 삶에는 반드시 돈이 필요하고 이 돈을 약속하는 사람들이 중개자로 자리한다.


'겨울의 정취''가리봉 연가'에 등장하는 명화는 오빠의 간암 치료비가 필요해 결혼을 택한 이주 여성이다. 처음에는 기석과 결혼하면 식구들도 한국으로 부를 수 있고 오빠의 병도 고칠 수가 있다고 믿었다. 명화는 그것이 자신의 착각이었음을 알자 남편과의 결혼생활에 흥미를 잃는다. 가족들을 불러들이고 멋쟁이로 사는 삶에 대한 욕망은 읍내 식당에서 만난 배 사장이라는 새로운 중개자를 찾는다.


명화를 따라 상경한 용자의 욕망은 애초에는 조금 불분명하다. 용자는 가리봉동 공장 시다를 하다가 고향에 돌아왔고 마을의 달곤에게 겁탈을 당해 그와 결혼을 하고 11년을 살았다. 달곤은 술을 마시면 폭력을 저지르는 남편이었고, 용자는 돈이 있으면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막연하게 돈이 있으면 좋겠다는 그녀의 생각은 명화를 만나면서 구체화된다. 새로운 삶이라는 대상의 중개자인 명화의 욕망을 용자의 욕망이 닮아간다. 얼굴 안 타고 "보얀하게 멋쟁이로 살"아가는 서울 여자라는 명화의 욕망은 용자를 두근거리게 한다. 명화에게 배신을 당하고, 카센터 훈이와 살림을 차릴 기대가 무너진 후에도 용자는 명화가 어떻게 사는지를 궁금해 하고, 명화를 만나 자신의 삶이 조금이나마 나아지리라는 실낱 같은 기대를 품는다. 용자의 욕망은 명화를 통해 암시 받은 가짜 욕망이다. 그러나 도시에 나와 서울 멋쟁이처럼 변한 자신의 모습이 용자 자신도 싫지가 않다. 시골 노인들의 눈총과 간섭을 받으며 흙과 거름을 만지는 삶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고 스스로 결론을 내린다. 마을에 있을 때 유난히 피부에 신경을 쓰던 명화의 모습은 서울에 올라와 노래방 도우미로 일하는 용자의 모습이 된다.


[유랑가족]은 도시 빈민, 이주 여성, 농촌 총각의 가난한 현실을 다루고 있기에 독자는 읽는 내내 불편한 느낌이 들 수밖에 없다. 특히 인물들은 가난을 탈피하게 위해 돈을 간절하게 욕망하고, 그 돈에 가까이 가기 위해 만나게 되는 중개자들은 거개가 주체를 배신한다. 주체가 매개를 통해, 또는 중개자와 협력해서 돈을 벌 수 있으면 좋으련만 각 인물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사기치고 배신하면서 근근이 살아갈 수밖에 없을 만큼 사정이 녹녹치 않은 것이다. 이 소설집에는 아이들도 많이 나온다. 미정, 영기, 명호, 공주, 영주 등이다. 부모를 잃었거나 부모와 떠도는 이 아이들도 돈을 욕망할 것이고, 또 한 번 배신을 당할 것이다. 책의 말미에 펑크 난 트럭에 탄 명호를 남겨두고 책장을 덮는 마음이 무척이나 무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