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미의 축제
밀란 쿤데라 지음, 방미경 옮김 / 민음사 / 2014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가 독자에게 최종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소설 속 다양한 층위의 거짓말을 읽어내고 그 거짓말들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다. 그러나 독자를 혼란스럽게 할 만큼 이야기 속에 많은 이야기들이 중첩되어 있다. 알랭의 어머니는 알랭이 뱃속에 있을 때 자살할 의도로 강물에 뛰어들었다가 구조하려는 청년을 죽이고 정작 자신은 살아난다. 알랭은 어머니의 사진만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을 버린 어머니와 자신을 이었던 흔적인 어머니의 배꼽에 집착한다. 그가 느끼는 여성들의 배꼽에 대한 에로티시즘은 어머니에 대한 집착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샤를이라는 인물의 어머니는 병들어 죽어가고 있다.


소설 속 현재에서 진행되는 사건들만큼 중요한 또 하나의 축은 스탈린과 칼리닌의 일화다. 작가 밀란 쿤데라는 역사적 사실과 뒤섞인 거짓말을 통해 농담을 해도 웃지 않는 무거운 시대와 사람이 죽어나가는 동안 가벼움으로 시대를 버텨내는 아이러니컬한 삶의 태도를 그려내고 있다. 오줌이 하찮기 때문에, 칼리닌이 초라한 인물이기 때문에 가벼운 농담에도 무게가 생겨난다.


독자는 소설의 누가 어떤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를 질문해야 한다. 다르델로는 라몽에게 자신이 암에 걸렸다고 급작스럽게 거짓말을 하고, 칼리방은 파키스탄인을 가장한 채 자신이 창조해 낸 언어로 칵테일파티에 참석한 사람들을 속인다. 알랭이 전하는 어머니의 일화 역시 알랭의 상상인지, 아버지가 들려준 것인지 알 수 없고 어느 쪽이 진실인지도 독자는 판단할 수가 없다.


쿤데라는 소설의 인물들, "이 친구들"이 내가 만들어낸 인물들이라고 말하고 인물들은 우리를 창조한 주인이 있다는 것을 안다고 고백한다. 독자는 난처해진다. 독자는 작가가 인물을 창조했다는 사실을 물론 알고 있다. 하지만 소설을 읽을 때만큼은 인물과 독자가 이 사실을 모른다고 서로 가정하기로 약속하지 않았는가. 거짓말을 늘어놓는 인물들로도 모자라 작가도 거짓말을 하는 셈인데, 이 모든 것이 거짓말이라는 사실만이 이 소설 안팎에 놓인 유일한 진실이 된다.


작가가 창조했다는 사실을 스스로 알고 있는 소설 속 인물이라는 설정을 받아들이고 나서도 [무의미의 축제]를 읽는 독자의 곤혹스러움은 사라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소설 속 인물들이 또 다른 인물을 창조하며, 이차 창작된 이 인물들이 자신의 세계의 바깥인 소설 속 세계에 등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알랭의 어머니다. 알랭의 어머니라는 인물은 독자에게는 처치곤란의 존재가 된다. 독자는 쿤데라의 뜻에 따라 알랭도, 알랭의 어머니도 작가가 창조한 인물이라는 것을 안다. 그런데 어머니는 작가가 제시하는 인물이 아니라 알랭의 상상으로 나타난다. 알랭은 아버지에게서 들은 어머니의 이야기를 전하는 듯하다가 아예 어머니의 목소리와 직접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어머니가 자신을 왜 낳았는지가 이 대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 자체가 하나의 농담이자 거짓말이 된다. 알랭은 밀란 쿤데라가 낳았기 때문이다. 탯줄로 이어진 배꼽에 대한 알랭의 집착이 반복될수록 이 존재의 기원에 대한 탐구는 점점 더 가벼워진다.


스탈린 일당을 둘러싼 이야기는 알랭의 어머니 일화보다 더욱 복잡하게 꼬여 있고 이제 소설은 뫼비우스의 띠나 에셔의 그림처럼 서로가 서로를 만들어 내는 형국이 된다. 소설의 마지막에는 샤를의 인형극 속 인물인 칼리닌이 자신의 이야기 밖으로 뛰어나가 공원의 사냥꾼으로 나타난다. 심지어 이 인형극을 상상하던 샤를은 어머니의 죽음 때문에 친구들을 떠난 상태다. 라몽과 알랭은 자신들 곁에 없는 샤를의 상상이 실제로 나타난 것에도 전혀 놀라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들이 등장인물인 이 소설을 밀란 쿤데라가 쓴 것이며, 자신들과 같은 소설 속 인물이 또 다른 이야기를 지어낸다고 해도 이 역시 밀란 쿤데라가 쓴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끝까지 독자만이 속는 기분이다.


그러나 다르델로라는 인물만은 이 연극을 사실이라고 믿는다. 라몽은 그에게 이 소설의 주제라고도 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제 나한테 하찮고 의미없다는 것은 그때와는 완전히 다르게, 더 강력하고 더 의미심장하게 보여요. 하찮고 의미 없다는 것은 말입니다, 존재의 본질이에요. 언제 어디에서나 우리와 함께 있어요. 심지어 아무도 그걸 보려 하지 않는 곳에도, 그러니까 공포 속에도, 참혹한 전투 속에도, 최악의 불행 속에도 말이에요. 그렇게 극적인 상황에서 그걸 인정하려면, 그리고 그걸 무의미라는 이름 그대로 부르려면 대체로 용기가 필요하죠. 하지만 단지 그것을 인정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고, 사랑해야 해요,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해요. 여기, 이 공원에, 우리 앞에, 무의미는 절대적으로 명백하게, 절대적으로 무구하게, 절대적으로 아름답게 존재하고 있어요. 그래요. 아름답게요.”(147쪽)


위대한 진리의 엄숙함에 애착을 가지고 있는 다르델로에게 이런 말을 통하지 않는다. 마지막까지 다르델로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유명한 여인 프랑크 부인과 그가 연인 사이라는 사실을 안다는 라몽의 거짓말이다. 거짓말만을 남기고 프랑스 국가, 다시 말해 프랑스혁명가가 울려 펴지는 가운데 퇴장하는 스탈린과 칼리닌의 모습으로 소설은 끝이 난다.

"나 자신한테 화가 나서 그래. 나는 왜 틈만 나면 죄책감을 느끼는 걸까?"
"괜찮아."
"죄책감을 느끼느냐 안 느끼느냐. 모든 문제는 여기에 있는 것 같아. 삶이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지. 다들 알아. 하지만 어느 정도 문명화된 사회에서 그 투쟁은 어떻게 펼쳐지지? 보자마자 사람들이 서로 달려들 수는 없잖아. 그 대신 다른 사람한테 잘못을 뒤집어씌우는 거야. 다른 이를 죄인으로 만드는 자는 승리하리라. 자기 잘못이라 고백하는 자는 패하리라. (……) 사과를 하는 건 자기 잘못이라고 밝히는 거라고. 그리고 자기 잘못이라고 밝힌다는 건 상대방이 너한테 계속 욕을 퍼붓고 네가 죽을 때까지 만천하에 너를 고발하라고 부추기는 거야. 이게 바로 먼저 사과하는 것의 치명적인 결과야."
"맞아. 사과하지 말아야 해. 하지만 그래도 나는 사람들이 모두 빠짐없이, 쓸데없이, 지나치게, 괜히, 서로 사과하는 세상, 사과로 서로를 뒤덮어 버리는 세상이 더 좋을 것 같아.(58쪽)

"이제 나한테 하찮고 의미없다는 것은 그때와는 완전히 다르게, 더 강력하고 더 의미심장하게 보여요. 하찮고 의미 없다는 것은 말입니다, 존재의 본질이에요. 언제 어디에서나 우리와 함께 있어요. 심지어 아무도 그걸 보려 하지 않는 곳에도, 그러니까 공포 속에도, 참혹한 전투 속에도, 최악의 불행 속에도 말이에요. 그렇게 극적인 상황에서 그걸 인정하려면, 그리고 그걸 무의미라는 이름 그대로 부르려면 대체로 용기가 필요하죠. 하지만 단지 그것을 인정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고, 사랑해야 해요,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해요. 여기, 이 공원에, 우리 앞에, 무의미는 절대적으로 명백하게, 절대적으로 무구하게, 절대적으로 아름답게 존재하고 있어요. 그래요. 아름답게요."(1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