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15분 초등 책 읽기의 기적
수전 짐머만.크리스 허친스 지음, 서현정 옮김 / 더블북 / 2021년 11월
평점 :
#하루15분초등책읽기의기적
#수전짐머만 #크리스허친스
#더블북 #도서협찬
"공부력과 문해력을 키워주는 7가지 독서 습관"
-취학 전, 저학년, 고학년 아이들의 부모와 교사에게 책 읽기 전략 안내
-7가지 독서 습관의 각 영역별로 활용하기 좋은 책을 수준별로 제시
💡'읽고 이해하기'란?(25p)
: 글자를 읽고, 글의 내용에 대해 말할 줄 알고, 교사의 질문이나 시험 문제에 답할 줄 아느냐 (❌)
➡️글의 진정한 의미나 중요한 요점을 파악해야 함
➡️글을 읽는 동안 생각하고, 학습하고, 지식과 시각을 넓혀야
➡️원래 가지고 있는 지식의 바탕 위에서 새로운 정보 익히고, 작가나 글 속의 인물들과 정신적인 대화 나눌 수 있어야
💡'7가지 독서 습관'
1) 감각 이미지 떠올리기
-글을 상상하고 이해하게 한다.
-글을 이해해야 머릿속 영화가 흐른다.
2) 배경 지식을 활용하기
-책과 자신, 책과 책, 책과 세상의 연결 고리를 만든다(피드 사진 확인👆)
-연결 고리 만드는 시범 보이기(...을 보니까 ...이 생각나는구나)
3) 질문하기
-질문이 곧 생각이다
-처음에는 질문하기 시범을 보이고, 책 읽기 전중후 어느 단계에서나 아이의 질문을 허용한다
-글을 읽으며 자기만의 질문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독서 능력이 향상된다
-고학년의 경우 책 여백이나 접착 메모지를 활용하여 질문을 적어보도록 한다
('궁금해요 공책' 만들어보는 것도 좋음)
-질문의 세 가지 지침
①어떤 질문이든 바보 같은 질문이란 없다
②정말로 궁금한 것을 질문한다
③읽다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질문한다
"지식의 힘은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분야에 대해
얼마나 독창적인 질문을 하느야에 달려 있다."
/ 데니 팔머 울프, <읽고 생각하기>
4) 추리하기
-추리력을 이용해 모르는 단어의 뜻을 짐작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읽은 글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깊은 의미를 찾아간다. 즉 행간을 읽는 것
-아이들이 만화, 신문기사, 소설 등 어떤 것을 보더라도 스스로 추리할 수 있도록 이끌어줄 수 있다
-추리력 발휘를 위한 질문 예시
①책의 제목을 보고 어떤 추리를 할 수 있을까?
②이 장을 거의 다 읽었구나. 처음 예측이 맞았니?
③어려운 단어가 나왔구나. 여기 어떤 말을 넣으면 뜻이 통할까?
④작가는 너에게 어떤 메세지를 주려고 한 걸까? 그런 생각은 어디서 나왔니?
5) 가장 중요한 주제나 요점 찾기
-글을 읽고 주제나 요점을 찾는 것은 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 수업을 받은 후 한 학생이 "중요한 것을 찾아내는 일은 어두운 터널 끝에서 비치는 빛을 보는 것 같아요(210p)"라고 말한 부분이 인상적
-인쇄물 속에 정보가 어떤 식으로 강조되고 정리되는지 살펴보고 직접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포스터 만들어 중요한 정보 강조하는 법 배움
6) 정보 종합하기
-줄거리에 자신의 생각과 배경지식을 더하는 것으로 책의 이해 증진
-부무와 아이가 대화하며 중요한 내용 기록하고, 함께 나눈 정보를 종합하여 학습한 내용을 자기것으로 소화
7) 수정 전략 사용하기
-생전 처음 보는 단어나 읽어본 적 없는 분야의 책을 읽을 때 '다시 읽기' 전략 필요
-읽기, 멈추고 생각하기, 계속 읽기 세 항목을 실제로 책을 읽으며 시범 보이기
-더 다양한 수정 전략은 258~259쪽 참고
📘책을 덮으며_
무조건 "책 읽어, 많이 읽어, 질문 없어? 생각한 건?"하고 다그치는 부모라면 일독을 권한다.
각각의 독서 습관을 기르기 위한 시범 전략, 질문 전략, 추천 도서를 활용한 수업 예시와 아이들의 반응이 나와 있어서 책 읽기에 필요한 구체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엄마라면 아이들 스케쥴에 따라 많은 알람이 저장되어 있겠지만, 나에게는 저녁 8시 15분 독서 알람이 있다. 바쁜 하루 중 15분만 내 아이와 엉덩이 맞대고 함께해보면 어떨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