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설계 - 성공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4가지 방법
에밀리 발세티스 지음, 박병화 옮김 / 김영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점설계

#에밀리발세티스
#박병화 옮김
#김영사
#도서협찬

"How successful people see the world"
"성공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4가지 방법"

저자 에밀리 발세티스는 뉴욕대 심리학과 교수이다. 주로 시각을 통한 지각 능력이 동기부여와 목표 달성, 감정과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 연구하고 있다. 특히 물리적 환경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인식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상황을 더 잘 극복하고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내용의 TEDx 강연은 조회 수 500만 회를 넘길 정도로 광범위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지각과 행동을 좌우하는 시각의 힘!
이 책은 자신에게 유리하게 강화함으로써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4가지 성공 철칙을 담고 있다.

'관심의 초점을 좁히고'
'구체화하고'
'틀을 통제하고'
'시야를 확대해서'
시각을 교정하면 어떤 목표든 손에 잡힐 듯 가깝고 명확해진다는 것!

첫번째, 진짜로 하고 싶은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하려면 '관심의 초점 좁혀야' 한다. 목표를 정확히 설정해야 효과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목표가 명확하고 가깝게 보일 때, 도전이 두 배는 쉽게 느껴진다. 우리가 보는 것이 우리가 하는 것을 결정한다.

두번째, 되는대로 일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싶을 때, 계획과 과정을 '구체화'하라. 체크리스트, 비전보드 등을 활용해 목표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시각화하면 행동으로 옮기기가 쉬워진다. 최선의 계획은 의욕이 아니라 세세한 점검에서 비롯된다.

🏷80p_ 비전 보드를 만들면 가고자 하는 목표점을 시각화하고 거기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자심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비전 보드나 영감을 주는 도해 이미지는 우리가 가진 영감에 구체적인 형태를 부여하여 마음속의 확신을 강화시켜준다. 희망과 꿈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묘사하기 때문이다. 비전 보드는 구체화를 위한 도구다.

주의할 점은, 멀고 먼 목표를 막연히 떠올려서는 결코 그 꿈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이 필요하다. 잘게 쪼개고 또 쪼갤수록 좋은 결과를 얻을 확률이 높아진다.

🏷125_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시각적 기록을 보며 계속 성찰하느냐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이 출발한 곳을 돌이켜보고, 또 현재 자신이 서 있는 곳도 확인했다. 그렇게 동기부여에 불을 붙였다. 그들은 자신의 발전 과정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구체화했다. 먹은 것을 기록하면 무분별한 간식과 과식을 억제하게 해준다. 돈을 어디에 썼는지 구체화하면 먹어 없애는 데 과소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발전 과정을 구체화하면, 어느 부분에서 부족했는지 인식하게 된다. 무얼 했는지 기록으로 구체화하고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이토록 중요하다.

세번째 전략은 '시각적 틀을 통제'하는 것이다. TED 최연소 연사인 13세 투레레는 1,400명 청중 앞에서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청중들 속에서 본인에게 호의를 느끼는 얼굴 5~6명을 찾아 그들의 눈을 번갈아 쳐다보며 발언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나도 아카펠라 공연을 할 때 나에게 무척 호의적이었던 사람들의 얼굴을 쳐다보며 노래를 불렀고 전혀 떨리지 않았던 경험이 있다. 이렇게 행복의 틀을 짜서 어떤 정보는 부각되고 나머지는 배제되도록 하면 자신감이 올라간다.

마지막으로, 기회비용 때문에 더 나은 방향으로 틀지 못하고 있다면? '시야 확대'가 필요하다. 시야를 넓혀 생각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한 가지 목표만을 고수하려는 것에서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 패션 디자이너로 성공을 거둔 베라왕은 한 때 피겨 스케이팅 선수였다고 한다. 하지만 전망이 어둡다는 판단이 들자 미련없이 다른 분야로 길을 찾아나섰다.

🏷329_ 시야 확대 기법은, 더 많은 선택이 열리는 시점에 앞으로 나갈 무수한 길을 볼 렌즈를 주는 셈이다.

이렇게 같은 세상을 다른 시각으로 보는 4가지 비주얼 전략을 살펴보았다. 새해에는 더 많이 알려고 하기보다, 더 '잘 보는 것'을 목표로 삼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