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은 편지함 힘찬문고 38
남찬숙 지음, 황보순희 그림 / 우리교육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의 리뷰에 이어 오늘도 편지로 진행되는 이야기에 대해 말해 보려고 한다. 이미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남찬숙 작가의 <받은 편지함>이다.

책을 좋아하는 순남이는 자기가 좋아하는 작가 선생님께 이메일을 보내곤 잊어버리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메일이 도착했다.

“안녕, 반가워! 독재자 친구!...
독재자라니! 처음엔 얼마나 어리둥절했는지 모른단다. 가만 보니까 ‘독자’라는 말과 ‘독재자’란 말이 헷갈린 것 같아. 내 말이 맞지? 그렇다고 너무 창피해하지 마. 그럴 수도 있지 뭐.“

깜빡하고 이름도 안 말하지 않았던 순남이는 고민한다. 순남이라는 이름, 말하기 너무 부끄러운데 어쩌나.

기본적으로 편지를 보낸다는 행위는 내 메시지를 전달하겠다는 기본 의도 외에도 상대를 알아가고 싶다는 희망을 담고 있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편지를 받을 상대에게 더욱 멋진 나를 보여주고 싶은 욕망이 가득한 공간이다.

아이들이 쓴 편지를 본다. 아무리 장난꾸러기여도 편지에선 그렇게 모범적일 수가 없다. 반성과 참회, 다짐의 공간이다. 또 다른 나로 거듭나고 싶은 2D 공간, 그것이 바로 편지지 위다. 반성과 참회, 다짐과 추억을 넘어서선? 가장무도회의 공간이기도 하다. 서로 모르는 사람들끼리 얼마든지 멋지고 번쩍거리는 가면을 쓸 수 있다.

좀 더 멋진 가면을 쓰고 상대에게 근사한 나로 보였으면 하지만, 사실 그 욕망은 자기 스스로를 위한 욕망이다. 지금보다 더 그럴듯한 사람으로 보이길 넘어서서, 정말로 그런 사람이 되어 있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그런 가면을 쓰고, 가면을 쓴 게 들킬까 불안해한다. 어느 순간 맥이 탁, 풀리면서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여줘도 괜찮다는 걸, 아니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여주는 게 가장 편하고 즐겁다는 걸 알게 되는 순간이 기쁘다. 그런 도구로서 편지가 이야기에서 사용되는 게 맘에 든다.

손에 잡히지 않는 이메일로 시작해 언제고 펴 볼 수 있는 종이 편지를 받는 순간의 짜릿함. 온라인 인연이 오프라인으로 연결될 때의 황홀함. 이와이 슌지 감독의 영화 <러브레터>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가슴 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스포일러 쓰지 않고 책 소개하기. 이거 점점 어려워지지만 꽤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