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 복잡한 세상을 만나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식인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완웨이강 지음, 이지은 옮김 / 애플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완웨이강은 이미 너무 잘 알려져 있는 작가여서([이공계의 뇌로 산다]를 읽었음) 작가를 보자마자 읽어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아마존 교양분야 베스트셀러 1위를 이미 장식했던 작가로 알고있었다. 이 책 또한 해외 여러 매체에 많이 소개가 되고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다는 말도 들어 흥미가 절로 생겼다.

지식인, 복잡한 세상 이라는 단어와 문구는 현 시대를 살고있는 사람들이라면 너무나도 와닿는 단어들일 것이다. 나또한 그렇다. 완웨이강은 첫 서문부터 지식인에 대한 개념? 을 언급한다. 완웨이강은 지식인이란 한 분야의,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들을 지식인이라 하지 않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복잡한 세상에서 그 세상을 이해하고 파악한 자가 지식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너무나 빠르게 변해가고 하나를 알기 전에 두세개가 나오는 이 복잡하고 빠른 시대를 파악하고 살아가는데에 지혜를 얻고 발전해가는 자들을 지식인이라고 말한다. 그들이 이 복잡한 세상을 어떻게 접하고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해 흥미롭게 서술되어 있다. 읽는 내내 내가 지식인의 행동을 하고 있나 짚어보게 되는 책이다. 작가는 어리석은 우리들의 행동과 생각을 꼬집어 가며, 아- 나도 이렇게 살아가고 있지, 이렇게 생각하고 있지 등을 느끼게 한다. 유명한 사람들, 소위 우리가 말하는 셀럽들의 SNS를 보며 그들을 부러워하고 근거도 없이 따라하는 등의 잘못됨을 일침하고 있다. 한없이 어리석고 부족하고 모자란 존재로 평가되지만 그로써 우리는 많은것을 얻고 깨달음을 느끼게 된다.

두번째 장에서는 현시대의 교육에 대한 비판을 하는데, 우리나라의 사례는 어김없이 등장했고 한국의 교육은 어느나라와 비교해도 절대 떨어지지 않는 빠른 성장을 했다고 말한다. 오늘의 학교는 등급을 매기고 분류하여 사람을 점수로 평가하는 악랄한 제도이며 그를 비판하고 있다. 나또한 그러한 환경에서 성장해 왔기 때문에 모든 생각과 사고방식이 점수, 등수에 얽매여 있는게 사실이다. 빈곤층과 중류층, 상류층 등으로 계급을 나눈 교육 또한 인상깊었다. 이미 겪어온 나의 성장기 인거 같아 조금은 씁쓸했다.

마지막 장에서의 미래를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논하는 것으로 이 책은 마무리가 된다. 복잡한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해 조금 더 깊이있고 심층적으로 설명한 책이다. 평소 자기계발서는 즐기지 않지만 이 책은 자기계발서도 아닌, 문학작품도 아닌 정보공유와 깊은 깨닮을 주는 수필같은 느낌의 책이어서 너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