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는 딸의 인생을 지배한다 - 모녀관계, 그 끝없는 애증의 늪에 관한 가이드북
사이토 다마키 지음, 김재원 옮김 / 꿈꾼문고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엄마와 딸의 관계는 도대체 왜 그렇게 복잡미묘한 걸까. 왜 나는 엄마에게 화가 나면서도 화를 내지 못하는 걸까? 내 여동생은 왜 굳이 엄마에게 전화해서 매일 잔소리를 듣는 걸까? 당최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엄마는 딸의 인생을 지배한다』에서 마주치는 문장들은 평소 내가 품고 있는 의문점들에 대한 (해답까지는 아니고) 이야기를 풀어낸다.
*
어머니의 요구는 오히려 비현실적인 수준으로 점점 확대되기 쉽지요. 이를테면 어머니를 위해 남자아이에게 필적할 만한 업적을 쌓는 한편 남자아이는 줄 수 없는 여자아이만의 즐거움까지도 주는 존재가 될 것. (...) 어느 수준까지는 어머니에게 순종하던 딸들도 결국엔 혐오감을 느끼게 되겠지요. 그 첫 징후는 ‘공허감’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자신이 어머니와 동일화하기를 거부한다는 사실을 어머니가 알게 되면 어머니는 애정을 거두어갈지도 모른다, 하는 이 같은 생각은 뒤에서도 언급할 ‘공허감’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왜 여성들에게 연대하지 못하느냐는 질문에 대하여는 아래 인용문 참고.
*
남성의 억압 포인트는 딱 하나입니다. 바로 ‘제 몫을 하는 사람이 되어라, 여자를 돌보고 가족을 돌볼 수 있는 든든하고 훌륭한 남자가 되어라’라는 거죠. 그래서 남자들은 하나로 뭉쳐 투쟁할 수 있는 거예요. 남자와 달리 여자가 한데 뭉칠 수 없는 건 저마다 고통스러운 부분이 다 달라서 서로 공감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절대 생물학적 차이가 아닙니다. 이건 차별당하는 쪽에서 늘 발생하는 일입니다. 미국에서 백인보다 수가 더 많은 마이너리티가 서로 다른 문화 때문에 하나로 뭉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죠. (요시나가 후미, 미우라 시온과의 대담 「호모만화, 그리고 소녀만화를 파헤치다」(2006)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