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e happy -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소냐 류보머스키 지음, 오혜경 옮김 / 지식노마드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저는 <How to be happy>처럼 인간의 행복에 대해 심리학적 측면에서 다가간 책은 처음 보는 거예요.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어떻게 생각하면 굉장히 색다른 말이기도 합니다. 저같은 경우... 행복이 연습이 필요할까 하는 의문조차 가진 적이 없어요. 그래서일까, 독특한 소재라는 생각이 들어 관심이 많이 가더군요. 행복해지려면 과연 어떤 연습을 해야 하는지 배워보고도 싶었구요.


음... 책을 보면요, 먼저 행복이란 것에 대해 얘기를 한 후에 그 행복을 위해서, 행복해지기 위해 할 수 있는 연습들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에 지속적인 행복을 누리기 위한 방법들도 제시하고 있구요. 저는 특히 Part 2의 열두 가지 행복 연습에 눈길이 많이 가더군요.

<How to be happy>가 가르쳐주는 행복 연습이란, 목표에 헌신하라, 삶의 기쁨을 음미하라, 감사를 표현하라, 낙관주의를 길러라, 친절을 실천하라, 인간 관계를 돈독히 하라, 용서를 배워라, 종교 생활과 영성 훈련을 하라, 몸을 보살펴라 등입니다. 처음에는 당연한 말이고 너무나 쉬운 것이기 때문에 황당함이, 다음에는 그 쉬운 것도 제대로 하지 못하기에 연습해야 할 것들이 아닌가 하는 수긍이, 마지막엔 행복해지기 위해서 당연하지만 제대로 행하지 못하는 것들을 실로 연습하리라 하는 결연함이 생기더이다. 정말 맞는 말이고, 결코 어려운 것들이 아니지 않습니까? 하지만 하나 어려울 것 없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것들도 제대로 하지 못해서 거기서 말미암아 누릴 수 있는 행복을 못 가지는 사람들, 수두룩합니다. 물론 저를 비롯해서요.


저는 늘상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행복한 일이 생겼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지만 결코 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은 단 한 번도 제대로 해본 적이 없어요. <How to be happy>를 읽고 난 뒤인 지금, 저에게는 소리 없는 질문이 던져졌습니다. 바로 '나에게 있어 행복이란 무엇일까?'예요. 아마도 해답을 찾는 과정이 <How to be happy>에서 말하는 행복을 위한 연습 과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