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문장들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 청춘의 문장들
ㅡ소년 김연수가 소설가 김연수, 혹은 시인 김연수가 되기까지.



무엇이었을까, 맨 처음 김연수를 읽어야만 하겠다고 나를 마음먹게 하고, 결국 그에게 흠뻑 빠져버리게 만들어 버린 그것은.

그래, 처음에는 그의 글이 가지고 있는 그 ‘다름’에 끌려들었다. 지금껏 읽어 온 그 어느 글과도 다른 그의 글이 가진 매력이 나를 끌어당긴 것이다. 하지만 하나씩 하나씩 김연수를 읽어나가면 읽어 나갈수록, 그 ‘다름’이 아닌 무언가 다른 것들이 나를 매료시키기 시작했다. 더 이상 그의 글의 ‘다름’이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의 글을 읽어 갈수록 나를 점점 더 잡아 끈 것은 그의 글에 투영된 김연수라는 인간의 모습이었다. 김연수라는 인간에, 나는 빠져들어갔다.

그렇다면 무엇일까, 나를 흠뻑 빠져들도록 한 김연수라는 인물이란. 김연수라는 인물의 그 무엇이 나를 집어삼킨 것일까. 예전에도 몇 번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었지만, 나는 <청춘의 문장들>을 읽고 나서 비로소 분명하게 확신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미약하고 불완전한 자신을 끊임없이 닦고 여미는 모습이었다.
누구보다도 강하고 완전한 자신을 위해 쉬지 않고 자신을 단련시켜 나가는 모습,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미약함과 불안전함을 뚫고 나오는, 점점 더 밝은 빛을 밝혀 내는 모습, 그 모습에 나는 매료되어 버리고 만 것이다.

<청춘의 문장들>에는 미약하고 불완전한 소년 김연수가, ‘어둡고 어두울 만큼 어두운 어둠’을 이겨 내며 소설가 김연수, 혹은 시인 김연수가 되어 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렇게 흘러간 시간들, 다시 말해 ‘청춘’이라는 시간들 속에서 깨달은 것들 혹은 청춘의 시간이 지나가 버린 지금에서야 먼 발치에서 그 시간을 돌이켜 생각하며 깨달은 것들이,
자신이 봄을 지나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봄이 오기만을 간절히 기다리던, 가장 아름다우면서도 그 때에는 그런 줄 몰랐던, 지나가버린 시간에 대한 아쉬움과 그리움 같은 것들이,

눈꽃처럼 아름다우면서 왜인지 모르게 서글프기만 한 문장들 속에 담겨 있다.


<청춘의 문장들>을 마지막으로 정말 김연수를 다 읽었다. 이제는 마음 편히 김연수의 다음 작품을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는 사실이 적잖이 마음 놓이고 뿌듯하다. 김연수는 어딘가에서 ‘이미 한 번 읽은 책’이라는 것들에 대해 아쉬운 마음을 표현한 적이 있지만, 나는 그 부분에서 만큼은 그와 반대이다. 오히려 이미 한 번 읽었던 책이라는 것들은, 내게는 아직 읽지 않은 책보다 훨씬 매력적이다. 한 번 읽은 책을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읽을 때의 그 기분을 나는 좋아한다.
이제는 그의 모든 책이 정말로 ‘이미 한 번 읽은 책’이 되었구나.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청춘의 문장들>을 읽고 그에 대한 감상으로 쓴 글이지만, 이것만으로는 너무나도 미약하다는 것. 책 안에서 문장들을 골라 내 적어 볼까 생각도 해 보았지만, 이 책의 전부를 옮겨 적지 않는 한, 그것은 무의미한 일일 뿐이라는 것. 그리고 다시 한 번, 당신도 김연수를 읽어야 한다는 것. 그랬으면 좋겠다는 것.


2007.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