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나귀님 > 사진으로 보는 절판본 (18) : 이탈로 칼비노
나무 위의 남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7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4년 8월
장바구니담기


<피노가 꿈꾸는 거미집 속의 작은 세상>(김화영 옮김, 정음사, 1990)

1947년작. 원래는 같은 역자에 의해 번역되어 문장사에서 <거미집 속의 오솔길>이라는 원제 그대로 나온 책을 다시 펴낸 것이다. (이 책도 어딘가에 있을 텐데, 도무지 찾을 수가 없어서 사진에서는 빠졌다.) 간혹 헌책방에서 <어린 뚜장이 피노>라는 책을 본 기억도 나는데, 같은 책이 아닐까 싶다.

<나의 사랑 마르코발도>(김석하 옮김, 글사랑, 1991)

1963년작. 1950년대부터 어느 잡지에 연재한 작품들을 엮은 것이다. 순박하고 어리숙한 마르코발도네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연작 단편집. 아마 <판크라치오 사람들>인가 하는 제목으로 나온 책도 있을 거다.

<보이지 않는 도시들>(박상진 옮김, 청담사, 1991)

이것도 한때 찾는 사람이 상당히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래서 한때 어느 SF 동호회에서 이른바 "직지 프로젝트"라고 해서 아이디어회관 SF 시리즈를 비롯한 절판본 SF 번역서를 스캔해서 CD에 담으면서, 이 책도 포함시킨 적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 책으로 가는 "링크"가 "보이지 않게" 설치되어 있어서, 그걸 알아차린 사람만 읽을 수 있었다는 점. (아마 그 SF 동호회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가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지금도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INVISIBLE CITIES (NY: Harvest Book/Harcourt, 1978)

<보이지 않는 도시>의 영어 번역판.

<사랑은 모험>(노혜숙 옮김, 미학사, 1991)

1970년작. 헌책방을 돌아다니다 보면, 이전에는 나온 줄도 몰랐던 "놀라운" 책들과 맞닥뜨리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 책이 바로 그런 식이었다. (뒤표지의 "2000원"이라는 가격표를 보라!) 미학사는 장정일의 <아담이 눈뜰 때>를 펴냈던 곳이고, 아마 나중에 김영사로 흡수되지 않았나 싶은 소설 전문 출판사였다. (지금은 어찌 되었는고?)

<제로사냥꾼>(전경애 옮김, 현대문학선 1, 현대미학사, 1992)

1967년작. <코스미코미케>의 주인공이기도 한 'ㅋ프우프ㅋ(Qfwfq)' 가 등장하는 단편집.

<사랑은 어려워>(김진욱 옮김, 문학사상사, 1996)

1970년작 단편집. 위의 <사랑은 모험>과 같은 책이다. 일어 중역 전문가인 역자의 이름만 보면, 솔직히 신뢰가 별로 안 가는 번역본..

"칼비노 선집"(전3권, 이현경 옮김, 민음사, 1997)
제1권 <반쪼가리 자작>
제2권 <나무 위의 남작>
제3권 <존재하지 않는 기사>

내가 정말정말 열광하며 읽었던 칼비노의 "우리의 선조들" 시리즈. 특히 <나무 위의 남작>이 최고였다. 이 책이 나오기 전에 <반쪼가리 자작>은 다른 출판사에서 한 번 나온 적이 있었고, 나중에 민음사의 <세계의 문학>에 전재되기도 했던 것으로 안다. 솔직히 제목만 봐서는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책들의 제목을 이전에 어떻게 번역해 놓았는지만 살펴보아도, 웃음을 참을 수 없다 :

반쪼가리 자작 : 좀 모자라는 자작(김화영), 이등분화된 후작(전영애)
나무 위의 남작 : 기어 올라가는 남작(김화영), 나뭇가지 위에 올라앉은 남작(전영애), 나무타기 남작(김석하)
존재하지 않는 기사 : 부재(不在)의 기사(김석하)

하긴, 제목만 봐서야 <반쪼가리 자작>의 주인공이 진짜로 "반쪼가리"가 난 사람이고, <나무 위의 남작>이 정말 "나무 위에서 사는" 사람이고, <존재하지 않는 기사>가 실제로 "텅 비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누가 알았겠는가. 지금은 절판되고 만 모양이라 아쉽지만, 솔직히 "칼비노 선집"은 표지도 내용도, 민음사에서 펴낸 웬만한 다른 책보다 한 수 위다.

<코스미코미케>(김운찬 옮김, 열린책들, 1994)

<제로사냥꾼>에도 나왔던 ㅋ프우프ㅋ(Qfwfq)가 나오는 소설.

<마법의 궁전>(펀앤런북스, 1991)

이탈로 칼비노의 방대한 편저인 <이탈리아 민화집> 가운데 10편을 수록한 것이다. 다닥다닥 붙어 있는 유럽 국가의 민화라서 그런지, 그림 동화나 이런저런 민담집에서 본 것과 "상당히 유사한" 이야기들이다. 칼비노의 기기묘묘한 우화의 유래를 대강이나마 짐작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나귀님 > 사진으로 보는 절판본 (20) :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 스완네 집 쪽으로 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창석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1998년 2월
품절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전7권, 김창석 옮김, 정음사, 1985 초판)

전7권 박스세트. (박스가 좀 꽉 끼는 바람에 왼쪽 위가 툭 터졌다.) 내가 알기론, 김창석 번역본은 이 책이 초간은 아니었고, 정음사 이전에 "세로쓰기"로 한 번 나온 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7권이 다 완간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위 책의 측면 사진. 박스에 모두 일곱 권인 이 책의 각 부 제목이 적혀 있다. 지금은 무려 11권으로 "쪼개져" 나오는 책이지만, 그래도 내가 정음사판을 좋아하는 까닭은 디자인이 훨 내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정병규의 디자인임.)

측면 사진. 정음사 판본은 내가 알기로는 또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초판 하드커버이고, 다른 하나는 이후에 같은 판형으로 나온 페이퍼백이었다. 디자인은 똑같은데 이후의 장정만 달랐던 셈이다.

뒷면 사진. 하드커버 초판이 있는 것은 알았지만 "박스세트"를 발견한 것은 솔직히 행운이었다. (어느 헌책방에서 산 것임.) 대략 만족..

제1권 "스왕네 집 쪽으로." 각 권 뒤표지에 나오는 프루스트의 사진은 다음 권으록 갈수록 점차 "나이먹은" 것으로 바뀌어 간다.

<사랑의 기쁨>(민희식 옮김, 정암, 1989)

마르셀 프루스트의 첫 (그리고 "유일한" 것이 아니었을까?) 단편집 번역본.

이형식, <마르셀 프루스트 : 희열의 순간과 영원한 본질로의 회귀>(민음사, 1984)

이건 프루스트의 작품은 아니고, 일종의 작가론인데, 지금은 절판된 것이니 기념삼아 찰칵. (표지가 아마 정병규의 디자인 작품으로 알고 있다.)

셀레스트 알바레, <나의 사랑, 프루스트>(심민화 옮김, 예술의 세계 6-3, 홍성사, 1979 초판; 1983 3쇄)

위 책은 1983년의 3쇄본. 몇 년 전에 시공사에서 개정판이 나오기도 했는데,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이게 처음일 거다. 홍성사는 초창기에 단행본 분야에서 11가지의 카테고리를 만들어 두고, 추리와 SF에서 레저 책까지 다양한 분야를 시도했는데, 정작 그 중에서 비교적 활발했던 것은 카테고리 3의 "홍성신서"(훗날 "기린원"으로 넘어간)와 카테고리 7의 "믿음의 글들"(지금도 기독교 전문 출판사가 된 홍성사의 유일한 시리즈다)뿐이었다.

당시 홍성사 책을 보면 간혹 이렇게 "십일조" 삼아 기증한 책 표지에 스티커를 붙이기도 했다. 하긴 홍성사 설립자이며 현재는 목사인 이재철씨의 자서전 <믿음의 글들, 나의 기록>(홍성사)을 보면 이 출판사는 본래 "항공운수업체"로 중동 열풍에 떼돈을 번 이재철 씨가, 얼떨결에 "십일조" 격으로 회사에서 번 돈의 일부를 "문서 선교"에 쓰고자 세운 "출판사" 아닌 "출판부"로 시작되었다. 이후 사업 실패와 자살 미수 등을 겪어 목사로 다시 태어나기까지의 과정은 그 자서전에 잘 나타나 있다.

앙드레 모르와,<프루스트를 찾아서>(김창석 옮김, 정음사, 1993)


<명상의 시간을 찾아서>(김효자 엮음, 동학사, 1989)

프루스트의 여러 작품에서 뽑은 명언집.

프루스트의 에세이가 수록된 책 두 가지.

이형식, <프루스트의 예술론>(대학교양총서 35, 서울대출판부, 1991 초판; 1992 2쇄)
<동서예술론집>(원형갑 편역, 현대인 교양선서 39, 금성출판사, 1987)

왼쪽은 프루스트 연구서로 "부록"에 프루스트의 에세이 6편을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 나온 "생트뵈브의 방법론"은 완역이 아니고 (물론 이것 또한 생트뵈브에 대한 프루스트의 책에서 한 장을 옮긴 것이긴 하지만) 발췌 번역이다. 오히려 완역으로 보이는 글은 그 옆의 <동서예술론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문고판 교양사상전집에 속해 있어서 찾기가 쉽지 않은데, 아마도 일어 중역본이 아닐까 싶은 반면 새뮤얼 존슨의 "셰익스피어론"과 고바야시 히데오의 "모차르트론" 등을 비롯한 흥미로운 글들이 많아 이채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