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바꾸는 착한 특허 이야기 세계를 바꾸는 착한 이야기
김연희 지음, 성영택.송영훈 그림, 한태현 자문 / 북멘토(도서출판)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참 편리한 

세상에서 살고 있다.


일상처럼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모든 것들에

새삼 다시 생각해보고

감사함을 느끼는

시간을 가져 보았다.


  

 


우선 특허가 먼지

한번 알아보자


특허란?

어떤 기술을 발명한

사람의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일정 기간 동안

국가에서 인정해 주는 제도이다.


특허는 오랜 시간동안

여러 검증 과정을 거쳐 

문제가 없어야 비로소

인정이 된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그래서 특허권을 보호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소개되는 사람들은

특허를 포기한 과학자들이다.

과학자들은 그들의 특허를 

포기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도

그 혜택을 받았으면 했다.


우리는 지금 그런 과학자들 

덕분에 건강하고 편리하게

살아가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책에서 어떤 사람들이 

개인의 이익을 위한 특허를 

포기하고 온 세상사람들을

위한 마음을 가졌는지

한번 살펴보자


 

 



1. 소아마비 백신을 만든 조너스 소크

2. 피뢰침을 발명한 벤저민 프랭클린

3.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한 팀 버너스리

4. 엑스선을 발견한 빌헬름 뢴트겐

5. 안전벨트를 만든 볼보와 닐스 볼린

6. 리눅스 운영체제를 개발한 리누스 토르발스

7. 페니실린을 약으로 개발한 하워드 플로리와 언스트 체인

8. 교류 전기를 개발한 니콜라 테슬라

9. 라듐을 발견한 마리 퀴리

10. 아두이노를 개발한 마시모 반지


이렇게 10명의 착한 과학자들은

문명의 발전과 전 세계인류의 

안녕에 이바지 하였다.


그중 나는 컴퓨터 관련 

일을 하고 있기네

아두이노를 개발한 마시모 반지에 

대해 관심이 젤 먼저 

갔다.


 

 


 쉽게 설명하면

아두이노는 

내 손안의 작은 컴퓨터라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의 CPU에 해당하는 

장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들과 모듈을 

연결하여

무한한 창작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래서 아두이노의 

심볼이 수학적으로

무한을 나태내는

기호(∞)인가보다.


마시모의 예상처럼

지금 아이들에게 

코딩과 메이커 교육이 

열풍을 이루고 있다.


우리아이들의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지금이다.


또한 마시모 뿐만 아니라

많은 선한 과학자들의

인류사랑으로

우리는 더욱 건강하고

편리한 세상에서 

살아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얼마전 기사에

코로나-19 치료제가

미국에서 우리나라돈으로 

1인당 300만원이 넘는 비용이

든다는 기사를 읽었다.

바이러스는 인류의 문제인만큼

이들과 같은 선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 과학자들이 많았으면 한다.



이 책은 허니에듀와 북멘토의 서평이벤트를 통해 책을 제공받고 열심히 읽은 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