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오늘 나는 외국어를 시작했다 - 거침없는 삶을 위한 짧고 굵은 10개 국어 도전기
추스잉 지음, 허유영 옮김 / 청림출판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나는 여전히 영어공부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고, 그래서 영어공부관련 책들을 꽤 사서 보고 있는 중이다. 나에게 맞는 영어공부법을 찾는다는것은 말처럼 쉽지가 않다.

 

 

이런 방법이 좋다, 저런 방법이 좋다...말들은 많지만 내가 해봐도 영~재미도 없고, 나아지는것도 없고 그래도 아무것도 하지 않을수는 없기에...계속 찾아보고 있는 중에

[그래서 오늘 나는 외국어를 시작했다]라는 책을 발견! 책의 제목보다 부제때문에 구입하게 된 책인지도 모르겠다.

 

 

"두 달이면 외국어 하나가 끝!"

 

 

와우~ 얼마나 매력적인 말이냐! 2년도 아니고 두달이다 두달. 두달이면 외국어 하나가 끝날수 있다는게 까짓 책한권이 문제겠냐? 싶어 주문했고 오자마자 바로 읽어버린 책이다.

 

 

이 책은 카테고리를 보면 외국어가 아닌 자기계발로 분리가 된다. 그러니 이 책에서 외국어 공부를 잘 하는 비법이 나올거라고 기대하는것은 잘못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이 책은 외국어 공부를 하게 하는 동기부여는 강하게 해준다.

 

 

외국어를 많이 알면 그만큼 다양한 인생을 살 수 있고, 눈에 보이는 세계의 모습도 달라집니다!

 

 

라는 저자의 말이 강하게 와 닿는것은 현실이 그렇기때문이다. 모두가 세계속으로 나아가는 현 시점에서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보단 아는 사람이 경쟁력이 더 있다는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 아닌가.

 

 

스스로를 한계짓는건 삶의 낭비라고 말하는 저자는 10여개의 외국어가 가능한 인물이다. 그는 자신을 언어의 천재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가 외국어 공부를 하는 방법도 특별하지 않다. 그저 평범하고 단순한데 그게 또 쉽지는 않은 일이다.

 

 

우둔한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하듯 그는 단어카드를 외국어 공부의 최초이자 최고의 방법이라고 말한다. 시중에 나온것을 활용해도 되지만 스스로가 단어카드를 만든것이 가장 좋다고 말하는 그다. 사실 그 방법이 맞는구나!라고 100% 확신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많은 단어를 알고 있다고 해도 문장으로 나오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

 

 

솔직히 영어를 공부하면서 어째서 첫 단어가 그 단어가 되는지?라는 의문을 많이 가지는 나로써는 (대체 어떻게 해야 나는 그것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거나 이해하게 될런지 ㅠㅠ) 단어가 전부는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어를 무시하라는 말도 납득하지 못한다. 왜? 아무리 말하고 싶어도 단어가 전혀 생각나지 않으면 이것또한 말짱 도루묵 아니던가.

 

 

결국.......영어는 일단 단어! 그리고 문장.......이라는 걸까? 나......또 단어장 사야하는거야? 그런거야? 하아! 외국어 공부를 하려고 하면 할수록 뭐 이렇게 사야할게 많아지는지..라고 생각하는건 내가 귀가 얇아 뭐가 좋다고 하면 다 사보고 싶은 마음때문이겠지.

 

 

대체 나에게 딱 맞는 외국어 공부법은 언제쯤 찾게 될까...만은 그래도 난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꼭 5개국어까지 해보이겠다! 라는 결심을 다시 한번 하게 만든 책이다.

 

 

오늘 외국어 하나를 배우면 내일이 두 번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만 얼굴의 루비
루비 브리지스 지음, 고은광순 옮김, 오정택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그냥 어린이용 책
나의 동심은 사라졌다 ㅜㅜ
순수하게 감정이 안 움직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몬쌤의 진짜 영문법 1 진짜 영문법 1
이혜영 지음 / DSL(뜨인돌)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짜 영어공부를 읽었던 사람으로...영문법도 기대되네요.
하지만 모두가 자신이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에 달린것은 사실인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누피의 글쓰기 완전정복 - 세계 유명 작가 32인이 들려주는 실전 글쓰기 노하우
몬티 슐츠.바나비 콘라드 지음, 김연수 옮김 / 한문화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쓴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머릿속에 무한한 소재가 떠돌아 다닌다고 해도 그것을 풀어내기란 생각만큼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니 소재부터 찾아야 할때는 글쓰기는 몇배나 더 어려워진다. 많이 경험하고, 많이 읽고, 많이 보고.......가 어쩌면 글쓰기의 기본 소재가 될런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것또한 결코 쉽지 않다는것을 매번 느끼게 된다.

 

훌륭한 이야기를 써내려간 사람들의 머릿속이 궁금할때가 참 많다. 대체 어디서 저런 생각들이 떠올랐을까 궁금하기도 하고, 그 사람들의 뛰어난 상상력이 부럽기도 하고. 그래서 내 자신을 보면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쓰고 싶은 마음만 가득하고 그것을 뒷받침해줄 무엇도 없다. 노력도, 바쁜 현실을 핑계로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소설을, 정말 좋은 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은 포기하지도 못한다.

 

책속으로 들어가보자...

 

갑작스런 영감이 찾아오는 경우는 드물기도 하지만 하나의 소재가 번쩍 떠오를때가 있는것또한 분명한 일이다. 하지만 마냥 마냥 그것을 기다릴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새벽 세시에 찾아오는 영감을 기다리지 마라는 다니엘 스틸의 말이 맞다. 그래, 이 책에 소개된 말들이 모두 맞는 말이란 사실은 부정할수 없다. 이미 책을 낸 유명한 사람들의 조언이니 당연할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들의 경험이 녹아있을테니까.

 

도입부로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아라! 라거나 제목, 다듬고 또 다듬어라.....거절 편지는 내가 글을 쓰고 있다는 증거 혹은 오래 생각하고 마구 쏟아내라, 모든 글쓰기는 독학이다! 라는 말들에 그래서 나도 모르게 알아! 안다고~하는 마음이 드는것도 사실이다. 그래, 글좀 써보겠다고 마음 먹은 사람이라면 대부분이 다들 알고 있을법한 이야기다. 알고 있으면서도 쉽지 않은것, 자기계발서와 같은 이치다.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운 이야기들.

 

그래서인가...이 책을 읽고서 글쓰기가 완전정복이 되었다는 느낌은 당연히 없고, 그렇다고 조금은 뭐 도움이 되네!라는 기분도 사실 많지 않다.

 

 

다만........[뭐가 됐든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매일 써라]라는 평범하지만 익히 알고 있는 문장에서 나도 모르게 한숨을 내어 쉬게 된다. 그래, 알아! 안다고. 나도 그러고 싶긴 하지.....라는 핑계를 대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이 주신 눈물
이이지마 나츠키 지음, 임희선 옮김 / 이너북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은 누구나 어느 순간 끝나는 시기가 다가옵니다. 그 누구도 그것을 피해갈수는 없는 일입니다. 다만, 그 죽음이 조금 이르냐, 늦느냐의 차이일뿐.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앞에서 초연해 질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신이 주신 눈물]은 말기암 환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저 단순한 소설이 아니라 실존했던 인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본의 프로 윈드서퍼였던 이이지마 나츠키에 대한 이야기라고 합니다. 물론 저는 모르는 인물이었지만요. ㅡㅡ;;

 

이 책을 읽고 슬프다.....라는 감정은 사실 모르겠습니다. 너무 담백했고, 말기암환자의 얘기라면 등장했을법한 그런 이야기들은 없었으니까요. 다만 이 책을 읽으며 내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1%의 가능성밖에 없다면........남은 시간을 편안하게 죽음을 맞아하며 보내겠는지 아니면 그 1%에 희망을 걸고라도 치료를 받겠는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처음엔 고통만 없애준다면 그저 남은 시간을 정리하며 편안하게 보내야 하는게 맞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내 자신에게 남겨진 가족이 있다면? 이 책의 주인공처럼 아내와 어린 자식이 있다면 어떨까요?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가족을 위해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해볼수 있는 모든것을 해봐야 하는것은 아닐까...라는 의문이 문득 들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모르겠네요. 어떤게 옳은 선택일지는....경제적인 문제점도 무시할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어떤 삶을 살아가야 내 앞에 닥쳐온 죽음에 조금이라도 덜 당황하고, 덜 아쉬워하고, 덜 미련이 남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사람의 삶이 끝나는것은 태어난 시간과는 상관없는 일일텐데도 아직은 저도 죽음이란 단어를 떠올리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 조금 더 해보고 싶은것을 해본후에, 조금 더 누려보고 싶은 것을 누려본 후에라면 지금보다는 덜 미련이 남을까요? 신을 원망하는 마음이 적어질까요? 그건 아무도 알수 없는 노릇이겠죠.

 

그래도.......후회없는 그런 삶은 매일 매일 살아야겠구나!하는 생각은 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