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jumjan > 주목받고 싶은 삶의 욕망
-
-
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산지는 꾀 된 것 같다. 읽은 내용이 기억이 잘 나지 않은 것 봐서는 다 읽지도 못하고 그냥 몇페이지를 읽다가 둔 듯 하다. 이 책을 생각하게된 것은 최근 명계남씨의 연극 ‘콘트라베이스’가 열리고 있다는 뉴스를 접했기 때문이다.
콘트라베이스, 오케스트라에서 주목받지 못하는 악기, 그리고 연주자. 그는 맥주를 한 두잔 씩 마시며, 그 자신의 이야기를 콘트라베이스의 슬픔과 비애를 통해 이야기한다. 최저음역으로 음의 높낮이가 있어서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악기. 우리 인생이 즐거운 것은 삶의 고저가 있고, 즐거움과 슬픔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큰 것은 희망이라는 것이 있기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러나 단조롭고 슬픈 음역의 콘트라베이스는 그 단어에서조차 무거운 느낌을 준다.
콘트라베이스는 주목받지 못하는 삶, 우리 삶의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그것을 벗어나 주목받고 싶어하는 삶을 위해 연주자는 연주회때 사랑하는 여자의 이름을 외침으로 인해, 아침뉴스에 오르고 그 여자의 눈길을 끌려한다.
이 책을 덮으며 콘트라베이스에 대한 애정이 더 생기는 듯한 욕심이 드는 것은 좀 지나친 것이 아닌가 하지만 관심이 간다. 작가도 사실 콘트라베이스의 중요함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좀 더 달리 표현하자면 무관심한 것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라고 재촉하는 것 같은 느낌. 무관심한 것들에 대한 관심을 좀 더 가길 수 있도록 말이다. 하찮은 것들, 화려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좀더 따뜻한 시선을 갖게 하도록 만든다.
콘트라베이스는 무관심한 것들에 대한, 평소 그냥 스쳐지나갔던 것들에 대한 시각을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글들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