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국가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50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이름은 '국가'보다는 '정의'에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정의는 무엇인지 묻고 끝에서는 왜 우리가 정의롭게 살아야 하는가로 마무리하기 때문이다. 국가의 통치체제를 비교하는 것도 결국 어떤 체제가 더 정의로우냐의 문제이기도 하고.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페이라이에우스에서 열린 축제에 갔다가 폴레마르코스의 집에 들리게 되는데, 그곳에서 인생에서 뭐가 중요한지를 묻다가 누군가 정의로운 삶을 이야기해버린다. 맙소사. 그렇게 길고 긴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곳에 몰려온 사람들과 문답해나가는데, 지루하지는 않다. 당시 사람들도 같은 인간이기에 '현실을 보면, 통치자(강자)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 결국 정의 아니냐' 같은 질문을 하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계속해서 질문하고 반박한다. 질문자는 지친다. 그래서 결국 처형당한 걸까(?)

 

우리가 이런 토론에서 다양한 논박을 기대하긴 어렵고 플라톤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 재미다. 반박하고 싶은 것이 한 두 개 가 아니지만 소크라테스는 말이 없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고 인간은 언젠가 죽고 소크라테스는 결국 죽기 때문이다... (?)

 

먼저 국가관에 대한 인식이 도드라진다. 우리가 알고 있듯 플라톤은 '지혜를 사랑하는 자'인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 말한다. 그것을 이야기하기 위해 논리 구조를 쌓아나간다. 국가에 이로운 것은 온 힘을 다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전혀 하지 않을 것 같은 사람을 통치자로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통치자의 견제하는 국가의 체제를 만들기보다는 각종 시험을 통해서 살아남은 철인의 통치를 추구한다. 여기서 그 유명한 동굴의 비유가 나온다. 철학자는 이데아를 아는 자다. 국가 통치 또한 그래야 한다.

 

그는 '마르크스가 역사 발전을 이야기했던 것처럼' 정치체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왕도정은 하늘의 이치에 따라 완벽한 자식을 낳지 못하고, 내분을 통해 명예정으로 이어진 통치자는 명예욕과 승부욕이 강해져 자산평가를 기준으로 통치자를 세우는 과두정으로 넘어가고 사회는 두 층으로 양분되어 분열된다. 지배층은 무절제하게 되고 반란을 일으켜 피지배층이 같은 위치에 서게 되면 부자들의 쓸모를 의심하고 쫓아내고 시민들에게 부를 나눠줘 국가 관직을 제비뽑기로 배정하는 민주정이 탄생한다.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이 자유로운 민주정은 "가장 아름다워 보이는 정치체제"라고 말한다. 왜냐, 자유롭게 무엇이든 선택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자유분방함을 싫어한다. "반박시 네 말도 다 옳음"소피스트들을 반박했던 것처럼. 그는 무엇인가의 쓰임이 어느정도 정해져있고 규칙 있는 것으로 세상을 여겼기 때문이다.

 

민주정에서는 능력이 있어도 반드시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 평판만 좋으면 사람을 높이 평가해 적합하지 않은 사람도 고위직에 올려준다. 자유는 무정부 상태를 낳고 질서를 흩트린다. 결국 과두정이 지나쳐 민주정이 됐지만, 민주정이 지나쳐 참주정이 된다. 극단적인 자유에서 거대하고 야만적인 예속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 과정은 부자와 같은 자들을 억제하자는 일종의 유토피아를 주장하는 민중의 지도자가 등장하고 그렇게 정상에 오른 민중의 지도자는 자기는 참주가 아니라며 많은 포퓰리즘적 약속을 행하며 전쟁을 벌이고 일부 반대 세력은 억압한다. 그렇게 주변을 하나하나 없애고 다 숙청한다. 이런 결말을 낳기에 소크라테스는 왕도정을 추구해야 한다 말한다.

 

마지막은 에르라는 남자의 이야기, 전투에서 죽었지만 살아나 저승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전해주는데, 여기서 굉장한 윤회사상을 엿볼 수 있다. 혼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혼에 대한 이야기는 파이돈에 더 잘 나와있다) 사람이 죽어 혼이 되어 자신의 다음 삶을 선택하는데, 아무리 질 나쁜 삶을 골랐다 하더라도 지혜를 추구하면 좋은 삶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이승에서의 삶에 따라 선택권을 부여받는다. 하지만 모든 건 자신의 선택이며 중용의 삶을 선택해 행복하게 살 수도 있다. 이렇게 보면 인간의 사고란 참 비슷하지 않은가.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나는 이런 윤회사상도 결국 인간의 정의추구와 맞닿아있다고 본다.

 

'불의한 자는 더욱 불의해진다' 의로운 자는 자기 혼을 훌륭한 본성의 지배를 받게 할 것이고 그렇게 만드는 학문을 소중히 여길 것이다. 그래서 그의 이데아에선 불의한 자는 통치할 수 없다. 그는 화합을 이뤄 이성 격정 욕구가 자기들의 최적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을 추구했다. 플라톤은 모든 것은 고유의 역할이 있고 이것을 잘 해내는 것을 조화로서 강조하지만 플라톤도 이것이 힘들 것임을 안다. 마지막에 신의 축복이 없는 한 이런 철인이 통치하는 일은 드물 것이라 말한다.

 

물론 오래된 논의다. 그리고 현재의 민주주의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입장에서 본다면 소크라테스의 논의는 의외로 구시대적이고 다양한 논의를 이끌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가의 중요성은, 통치체제들을 비교하고, 정의에 따라 어떤 체제가 옳은 가 하는 논의를 구체적으로 다뤘기에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그의 논의들은 이데아론으로 향하기에 적어도 통일성이 있다고 여길 수 있으려나. '니코마코스 윤리학'보다는 쉽게 읽히며 각주 또한 친절하게 돼있다. 이제 현대지성 클래식은 믿고 읽는다. 교양서적으로 더욱 쉽게 읽게 하는 것에 초점이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