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메라의 아침 - 제3회 문학.판 신인작가 장편소설 당선작
조하형 지음 / 열림원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키메라의 아침]은 2003년에 영화평론으로 등단한 조하형씨의 장편소설이다. 내용은 좀 난해해서 내가 대략 만족할만큼 이해할 수 없었다. 이야기는 박영자, 박영구, 김철수, 이순희라는 네 노인을 축으로 조인(鳥人)과 인간들이 공존하는 미친, 새로운 세계에서 어떤 몸부림을 보여주고 있다. 그 몸부림은 미친, 새로운 세계라고 서술자가 계속 강조하고 있는 세계에 대항하는 의미를 지니는 듯하다. 박영자는 나무늘보와 관련된 일련의 불법행위로, 박영구는 연구와 연구좌절 이후의 행동들을 통해, 김철수와 이순희는 암벽 등반을 통해 미친 새로운 세계에 대항한다. (이는 소설의 기본 원리인 개인과 세계의 갈등 내지는 대결 국면과 어느정도 일치하는 듯하다.) 그리고 각자 어떻게 변해가고 주변의 노인들은 사라지고 곰팡이에 감염되고 외국으로 수출된다.
이 작품의 끝을 찾지 못했다. 어렸을 때 여러 문고판으로 나온 서바이벌 북과 같은 책을 기억하는지 모르겠는데 글을 읽어가다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1.가와 같이 행동한다-30쪽, 2, 나와 같이 행동한다 - 43쪽"과 같은 분기에 따라 책의 순서를 이리저리 이동하며 봐야하는 구성이다. [키메라의 아침]은 인터넷 하이퍼텍스트의 '링크'라는 개념으로 서바이벌북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여 작품을 짜임새를 만들고 있다. 순문학작품에서 이러한 시도는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내가 읽기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중적인 결말이나 달라지는 구성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다. 본문의 중간중간에 삽입된 링크는 각주정도의 기능을 하며 각 장의 끝에 제시된 링크에 따라 이동을 해도 결말을 찾을 수 없고 봤던 내용이 반복되는 상황을 만든다. 특히 16-7장에 제시된 박영자, 박영구, 김철수, 이순희의 링크는 아무리 계속 따라가며 읽어도 각 인물들의 결말을 보여준다고 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시도 후에 변화된 세계나 견고한 세계를 보여주는 소설 전체의 결말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무한 반복을 노린 것인지, 내가 오독을 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소 읽기의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듯하다.
각 장의 묘사, 서술의 측면과 음악과 시간과 세계에 대한 상상력의 측면은 재미있게 봤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다소 난해하여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이나 주제를 파악하기는 참 어렵다. 반쪽짜리 독서를 했다는 생각도 든다. 꼼꼼하고 기억력 좋은, 그리고 미래에 대한 디스토피아적인 상상력을 좋아하는 사람은 한번 읽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