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 오전에 교무실에서 혼자 근무하며 김기덕 아저씨가 진행하는 라디오를 듣고 있었다. 라디오에서 우리 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의 기준이 1. 건강, 2. 돈 등의 순서였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부분이 행복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소득이 우리보다 훨씬 낮은 방글라데시인가 하여간 동남아 국가에서 느끼는 행복지수가 우리의 그것보다 훨씬 높게 나왔댄다. 점심 때 옥임스를 기다리며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에 가입했다.

 

"치기 어려운 공은 치지 않고, 받기어려운 공은 받지 않는다."

 

작품 내의 조성원이 나에게 하는 이야기이다. 82년 프로야구 출범 당시 정부는 프로야구를 통해 사람들에게 프로의식을 주입시키고 이를 빌미로 일을 더 열심히 시키려는 음모를 꾸몄으며 이에 대항하여 삼미는 프로의 세계에 대항해서 프로야구가 아닌 순수한 야구를 보여주기 위해 누구도 수립할 수 없었던 연패의 기록을 달성했다고 한다.

 

주변에 일반 기업, 특히 대기업에 다니는 지인들을 보면 살떨리는 경쟁 시스템에서 언제 도태될 줄 모른다는 위기감으로 필사적으로 회사생활을 견디고 있다.(가끔 안그런 사람도 있지만 극히 일부.) 작품에서는 일류대를 졸업하고 새벽출근 자정퇴근을 하며 몸바쳐 회사에 충성했지만 IMF로 구조조정되고 마는 나의 직장생활을 통해 그러한 삶의 허상을 보여준다. 모두들 자신이 프로라고 최면을 걸면서 밤낮으로 먹고 살려고 아둥바둥하지만 그에 비례하는 우리의 행복은 형편없는 수준이라는 것. 천천히 여유롭게 자신이 중심이 되어 삶을 영위하라는 것이 이 작품이 주는 메세지이다.

 

좀 없으면 어떤가? 기본적으로 좀 덜써도 되고, 없으면 좀 빌리고 갚으면 되고 돈 좀 더 있으면 맛있는 거 먹고, 남도 도우면 된다. 자기 소득 수준에서 누릴 수 있는 만큼 자신의 시간을 누리고 즐기면 된다. 돈 별로 안들이고 재밌게 놀 수 있는 방법 많다. 평소에 가진 것이 많아지는 것과 소비에 대한 중독은 정신적 파멸의 지름길로 생각하는 나의 모토와 일치해서인지 참으로 공감하며 재밌게 읽었다. 나도 내 일 열심히 하면서 남는 여유시간 가족과 내 여가에 투자하면서 책도 읽고, 만화책도 보고, 겜도 하고, 총싸움도 하고, 글도 쓰고, 공부도 하고, 농구, 축구, 탁구, 배드민턴, 볼링 등을 즐기고 겨울되면 보드타고, 좋은 곳 여행도 다니고, 좋은 사람들과 음주가무를 즐기고, 때로는 멍하니 머리를 비우면서 내 분수에 맞게, 행복하게 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